초록 열기/닫기 버튼

儒家에서 孔子나 孟子, 荀子는 治道의 요체로 尊賢使能論을 일관되게 주장해 왔다. ‘致君澤民’의 정신을 지향해야 하는 儒敎的 賢臣은 윤리적 도덕성과 직책에 맞는 능력을 가지고 權道를 실천해야 한다. 권도는 곧 中庸을 실천하는 것이며 正義에 부합하는 행위로서 知時識勢에 바탕을 둔 時中之道라 할 수 있다. 君主는 ‘尊賢使能’ 정책을 최우선으로 시행하여야 한다. 특히 孟子는 ‘尊德樂道’를 실천하는 방법으로 ‘不召之臣’을 예우할 것과 신하를 스승삼아야 한다고 역설했으며, 荀子는 身分의 貴賤을 固定化시키지 않는 能力本位의 官僚 등용을 주장하였다. 孔子가 강조한 時中之道는 군자가 추구하는 理想의 역동적인 현실이요 실천이다. 君子, 君臣은 구체적인 현실에서 관념과 주의를 최선의 방법과 공리적 관점에서 사회적으로 구현하여야만 한다. ‘褒貶’의 정신으로 『史記』를 완성한 司馬遷의 天道에 대한 부정적⋅비판적 시각은 이치보다 사실을 강조하는 역사가로서의 현실인식의 발로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본질에 충실한 儒學者로서의 모습을 견지하고 있으며 특히 이상과 현실의 괴리 속에서 표출된 ‘九牛一毛’에서 그의 思想家的 진정성을 엿볼 수 있다. 이미 荀子는 意志的⋅主宰的 天道의 존재를 부정하고 ‘人定勝天’으로 표현되는 물질적 天觀을 제시한 바 있다. 한편 孟子는 道統論的 歷史觀의 관점에서 儒家의 정통계승자라 자임하였으며, ‘一治一亂說’을 근거로 하여 ‘五百歲王者說’을 주장하였다. 聖君이나 賢臣은 폭정과 학정에 시달리던 백성들로부터 절대적인 지지를 얻기 마련이고, ‘亂極思治’는 그들에 의해서‘撥亂反正’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孔子의 時中之道와 그것을 계승⋅발전시킨 孟子는 현신을 평가하는 데에 있어서 서로 차이가 존재한다. 孔子는 백이⋅숙제의 청렴과 의지, 유하혜와 소연의 현실참여적인 행도를 긍정했지만, 孟子는 백이와 유하혜는 둘 다 중용의 도를 지키지 못했다고 비판하면서, 그 근거로 ‘좁음’과 ‘불공함’ 같은 편벽함을 지적하였다. 백이의 청렴과 立志, 이윤의 책임과 의무, 유하혜의 寬裕와 厚德은 현신으로서는 일단의 가치가 있지만, 공자의 時中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賢臣의 기준은 무엇인가? 그것은 구체적인 현실세계에서 실천해야 할 時中之道의 適時性이다. 진정한 현신은, 부나 명예와 상관없이 편견과 극단적인 행동을 버리고 항상 정의와 진리의 입장에서 憂患意識을 지니고 행동하되 시중지도를 추구하는 자이어야만 하며, 치군택민을 절대적 사명으로 인식하고 실천하는 자이어야만 한다. 栗谷이 정의한 ‘眞儒’의 모습이 평생 澤民을 위하여 봉사해야 하는 것이라면, 사회 각계각층에서 전관예우의 풍조와 권익추구가 만연하고 있는 한국사회는 큰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율곡이 지적한 ‘不仕四品’論은 작금의 한국사회의 정치인⋅법조인⋅기업인⋅CEO⋅교육자 등 소위 지도층 인사들에게 경종을 울리는 것일 수 있다. 오늘날의 지도자들은 公道意識 즉 공평무사와 멸사봉공을 지향하려는 의지 자체가 부족하다. 亂極思治의 시대에 양심과 도덕성 회복은 요원하지만, 撥亂反正을 기대하는 사회구성원들은 사회지도층의 각성을 요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人間의 時中之道 구현은 知識의 영역이 아닌 意志의 영역에 있는 것이다.


Nowadays If we wish that any thoughts or ideology that can lead the 21st century, we should consider deeply on reconstructing and promoting public equity(公道). The ideal of Confucianism(儒敎) is to realize the ideology of the Chou-Li(周禮). Confucius pursued perfect virtue(仁) and virtue-ruling(德治). And Mencius(孟子) advocated ‘the kingly way'(王道) by employing the wise(選賢). This thes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theory of wise vassal(賢臣) according to appropriate time(時宜). Confucian policy is considered that it played a significant role and offered some clues as well in the foundation of the confucian-political thoughts and ideology of confucianism(儒敎理念). The political and educational ideology of confucianism is realized by the balanceable and suppletory relationships between the king and subjects(君臣). The kingly way is only succeeded by the policies employing the wise & able(尊賢使能). Confucius(孔子) and Mencius pursuit the principles of 'the kingly way' and 'respecting the wise' which were based on confucianism. Husn tzu(荀子) had a lot of influenced on the consciousness of the ideological base departs from the Chou-Li. Hsun Tzu did not regard division into classes as primarily a hereditary one. lso supreme historian Sima Qien(司馬遷) regards Shih chi(史記) as employing the wise and stressing on confucianism". Especially the realization of ‘the kingly way' and ‘policy for the people(民本)’ are materialized by the accurate present-understandings and the abilities of the kings and subjects. The abilities is absolutely potentialities of situational moral(權道) and well timed morality(時中之道). Yul gok(栗谷) urged the importance of the well timed morality. And Yul gok emphasized the need for aspiring leaders to be inspired by their own wisdom and conscience. Genuine confucian(眞儒) must has the firm determination to accomplish the lifetime service. It is suggestive to the modern l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