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문은 니체의 현대 중국에서의 두 가지 해독(解讀)의 핵심 주제를 현대성과 허무의 두 가지로 귀납하여 그 사상의 맥락을 역사성을 배경으로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현대성이라는 총체적 개념으로 표상할 수있다는 가정 하에 현대성과 허무(주의)의 두 가지로 귀납하여 각각의 내용을논의했다. 현대 중국의 지식인은 니체의 전체 사상을 관통하는 개념을 비극을 본체론으로 하고 기성의 가치 관념과 도덕에 대한 비판을 인식론으로 하는 하나의 체계로 간주한 것이다. 문학가들에게는 예술을 현대 중국의 도탄에 빠진 중국인의 심령을 구원해 줄 욕망의 실체로 보였다. 허무의 과제는니체에게 부정과 긍정을 동시에 상상할 수 있는 자각적인 욕망의 하나였다. 니체의 힘의 욕망이 기실 정치와 관련없는 창조의 위대한 행위로 해석해야한다는 믿음은 계몽과 그의 일환인 예술행위에 의해 확인되었다. 현대성을 중국 현실에 니체를 통해 적용해 보면 선악 초월론, 성인(聖人)론 및 우상론의 매듭으로 요약할 수 있다. 허무(주의)의 인간과 문학의 방법에서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이르는 중국 문학의 현대화시기에 니체가 장중요한 문학 혁명의 정신 지도노선이 되었으며 이의 선구자는 노신이었다. 그 후 욱달부(郁達夫)는 국가에 대비하여 개인과 예술, 감정의 기능과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에 니체를 인용하고 모순은 한편으로 무산계급자의 혁명을위한 가상공간과 스토리의 설정으로 허무 뒤의 이상적인 유토피아의 욕망을꿈꾼다. 결론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니체의 현대성 개념이 현대 중국에 서양 문명적 가치와 수단을 배제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허무를 본질로 하는 니체의 문학 모티브는 중국의 문학에 상대적이고 비관적인 의미로 전환되었다. 셋째, 니체를 통로로 한 서양 문명과 정신, 종교의 본질에의 접근은 1930년대 이후 현대 1980년대에 비로소 서양 문명 전반에 대한 본질성 의미에 대한 재해석의 시대적 환경이 마련되었다.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illuminate the influence of Nietzsche philosophical thought(NPT, hereafter)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hina,especially about interpretation of Chinization. I suggest the NPT must be comprehended by China`s thought historical context, through which I hypothesized the representations of NPT were whole thing about modernity and nihilism. In 1900 and 20-30years after, the core of Nietzsche thought has been considered as the tragedy of humanity and epistemology of value system in modern China. Arts would be the will for China intellectuals to realize the revolution and Nihilism would be not thought as the pure power relations but as the adorable creative power. Modernity as far as Nietzsche meaning, would be the transparency between good and evil, saints, and idols theories. In the realm of literature of modern China, Luxun were the pioneer in culture revolution. Yudafu, as the member of progressive arts circle, insisted that individual and emotion would be more important elements than nation or ideology oriented ethnic existence. Maodun had used the his novel world as the completion of political and cultural revolutuon. In conclusion, I would suggest the three points: first, NPT would be the new paradigm of value standard in contemporary China. Second, the literature motive of NPT had been transformed to the pessimistic meanings and relative contexts. Third, through the whole NPT, we would get to have true and valuable concepts and clue of reinterpretation of Nietzsche Chinization of contemporary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