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단의왕후 혜릉을 통해 조선 18세기 전반 세자묘⋅세자빈묘 조성과 추숭에 따른 봉릉(封陵), 추후 석물추배로 인한 능제로의 승격 과정을 통해 조선후기 왕실의 원⋅묘제에 대한 인식, 제도적 변화과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특히 혜릉의 실질적인 능제로서의 승격과정을 담은 『혜릉석물추배도감의궤』(1722년) 분석을 통해 그동안 뚜렷하게 규명되지 못한 혜릉 석물추배 과정과 왕실 원⋅묘제와의 관련성, 조선후기 산릉역사에 있어 혜릉 봉릉이 갖는 위상을 함께 파악하고자 했다. 단의왕후는 부군(夫君) 경종이 등극하기 전 세자빈 시절 죽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순회세자와 소현세자묘의 제도에 근거하여 일반 민가의 묘와 큰 차이 없이 조성되었다. 1720년 경종이 등극하자 단의빈에 대한 추숭이 진행되었고 묘 역시 능으로 봉릉되었다. 그러나 곧바로 상설제도의 승격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2년 후인 1722년 비로소 석물추배를 통해 온전한 능제를 갖추게 되었다. 혜릉 석물추배는 조정대신들이 혜릉이 봉릉되어 상황이 처음과 다르므로 격에 맞는 의물(儀物)을 갖추어야 한다고 주청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나, 이면으로는 노론에 떠밀려 왕권을 제대로 행세하기 힘들었던 경종과 정치적 우의를 점하려고 했던 소론측의 이해관계가 합치되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논의와 준비기간을 합쳐 약 3개월 동안 진행된 석물추배 결과, 혜릉은 조선왕릉 중 원묘체제에서 능제로 승격되었으며 능으로서 온전한 격식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1724년 경종 의릉 조성 시 석물제작에 영향을 주어 체제가 유사할 뿐 아니라 조각기법에 있어서도 서로 유사한 도상(圖像)을 공유한 무석인이 제작되기에 이르렀다. 혜릉 석물추배가 조선후기 왕릉조영이 역사에 있어 차지하는 의미는 단지 후계왕의 정비(正妃)를 추존하고 능역을 새롭게 조성한 사실을 넘어 추봉릉 중 원⋅묘제에서 능제로 실질적인 정비를 한 유일한 왕후릉이라는 사실을 들 수 있다. 혜릉을 둘러싼 세자빈묘 조성→추숭과 봉릉→석물추배라는 일련의 과정은 조선왕릉이 능제와 원⋅묘제가 혼합된 복합적인 성격의 유산이며, 그 배경은 추숭을 통한 봉릉이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준다. 앞으로 조선왕릉 제도의 변화과정을 심도 있게 밝히기 위해서는 혜릉처럼 위상이 부각되지 않은 개별 왕릉의 조성과정에 대한 보다 면밀한 파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ate codes of crown prince and princesse given the posthumous title as a king and queen, as well as the reconstructing their tombs as the shape of royal tomb ob the focus of Hyereung(惠陵), the tomb of Queen Dowager Daneui(端懿王后) who was the principal wife of King Gyeongjong(r. 1720~1724) in the 18th century, Joseon. In particular, in this paper, State Manual Arranging of Stone Monuments in Hyereung(惠陵石物追排都監儀軌) in 1722 is discussed because this royal record shows the procedure, institutional changes, and reconstruction of he tombs of crown prince and princess as called “myo(墓)” or “weon(園)” to the royal tomb style. Since Queen Dowager Daneui died as a crown princess, her original tomb was thought to be made in the shape of Joseon noble class mausoleum. In 1720, her bushland Gyeongjong ascended to the throne, he not only commanded to restore her original position as a Queen, but also to reconstruct her grave as a shape of royal tomb in 1722. Hoping to concrete his royalty, Gyeongjong forced to recover the Queen's position and burial precinct, banding together with his political right-wing, Minor Doctrine Party(小論). According to the State Manual Arranging of Stone Monuments in Hyereung, in the year of 1722, several stone monuments, stone army statutes, and symbolic stone guardians were newly placed around in Hyereung. The significance of placing stone monuments and guardians in the royal tomb is that Hyereung is the solely example elevated as royal tomb placement after given the posthumous title. The reconstruction of Hyereung influenced the stone sculptures placed in Uireung(懿陵) of 1724. The stone soldiers of the two royal tombs are sharing the similar costume design and carving technique. Hyereung constructed on the base of mixed legacy of the royal and princess cemetery system, gives us further and detailed study for Joseon royal tom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