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구술성과 오락성을 중심으로 전통극과 오락프로그램의 유사성을 추출하였다. <봉산탈춤>은 전통 언어문화의 다양성을 보여 주고 있는 언어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은 매우 낯설게 느낀다. 연구자는 학습자의 기대지평으로 전통극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 <무한도전>을 활용하여 <봉산탈춤>의 성격 및 언어 표현 양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imilarities between a traditional theater and an entertainment program by focusing on the orality of a classical literature text. Even though <Bongsan Mask Dance> was a linguistic material that showed the diversity of linguistic cultures, junior and high school learners were not familiar with it. This study assum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understand traditional theaters through the expectation prospect of learners; thus, it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ongsan Mask Dance> and the aspects of its linguistic expressions, by using the television entertainment program called <Muhandojeon (Infinite Challe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