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가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의 철학, 내용과 방법 등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화법 교육의 경우에도 교육과정에 따라서 학교 화법 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달라진다. 이 글에서는 2011년에 개정된 화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화법 교육에서 해결하고 넘어가야 할 과제들을 정리하고, 학습자들과 국민들의 삶에 실질적 작용력을 발휘하는 화법 교육을 위해서 학교 화법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현실적 대안을 제안했다. 화법 능력의 개념을 정리하고, 학교 교육에서 화법 교육의 성격과 목표, 내용, 방법, 교과서와 수업에 대해서 종합적 관점의 진단과 개선 방안에 대해서 논의했다. 모국어 교육으로서 화법 교육의 철학을 분명하게 하는 것, 화법 능력 요소를 체계화하는 것, 화법 교육과정 개선과 교과서 등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것, 화법 교육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 화법 교육을 사회 교육 전반으로 확대하는 것 등을 해결 과제로 정리하고, 국민들의 삶 속에서 담화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ㆍ분석하는 것, 학교 교육과정과 밀접한 화법 교육 모형을 개발 보급하는 것, 화법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의사소통을 활성화하는 교육을 하는 것, 학습자의 관심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토의ㆍ토론 주제를 개발하고, 화법 교수ㆍ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교사 연수하는 것, 화법 수업 자료를 면밀히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찾는 것 등을 제안했다.


The National Curriculum is a key factor for re-editing textbooks in every schools and changing classroom teaching practices. This paper focuses on the new speaking and listening curriculum revised in 2011 and some basic problems with it. The problems are examined with an emphasis on establishing a systemized approach and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speaking and listening abilities. To enhance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vast practical conversation data should be collected and carefully analysed. With the results,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should be revised at all levels. Following this,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can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Finally a well-organized teacher education programme for first language education needs to be available on an ongoing b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