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프로그램의 유형 및 운영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1998년부터 2015년 12월까지 국내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물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총 40편의 국내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물을 분석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최종연구물들을 대상으로 국내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를 비롯하여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라 랜덤효과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하위변인에 따른 분석 및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0.95였으며 이 효과크기는 Cohen(1988)의 기준에 따라 0.8을 상회하는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심리적 변인 개선을 위하여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프로그램의 유형 중에서는 원예치료, 모래놀이치료와 같이 자연친화적인 소재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심리적 변인 중 자기효능감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프로그램 운영특성에 따른 분석결과에서는 운영시간이 1시간 미만일수록 가장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영회기가 많을수록 효과크기가 높은 경향성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rograms for female domestic violence victims on their psychological factors to establish better program types and operation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national research data on various programs for female domestic violence victims from 1999 to December, 2015 were chosen for analysis. A total of 40 research data were chosen for final analysis. The total effect size of the effect of the programs was calculated and a homogeneity test was performed. Then, according to the results, a random-effect model was used for analysis. A meta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on the effect of the lower factors. The total effect size of the programs on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female domestic violence victims was 0.95. This, according to Cohen’s criteria (1988), is a high level effective size well above 0.8. Hence, an argument can be made that active application of programs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states of female domestic violence victims is much needed. Among the different program types, nature-friendly programs such as horticultural therapy and sand therapy appeared to be most effective. And of the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the programs had the largest effective size on self-efficiency. Analysis on program operating methods showed that programs with an operation time of less than an hour had the largest effective size. Also, programs with more frequent sessions seemed to have larger effective s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