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ncourage some interface between this basic conviction with a perennial issue raised by the modern study of the Old Testament: how ‘historical’ is the Old Testament? Another way of asking that question is: To what extent does an Old Testament narrative comply with notions of history writing prevalent in our world today? To solve this issue we are going to interact with three major evangelical works(Hoffmeier, Kitchen, Longman). We come to conclude that biblical narrative is to be better understood in terms of a perspective which may be called the ‘mythologizing of history’ as opposed to the ‘historicizing of myth.’ In other words, Exodus story is not a rehearsal of a mythic drama dressed in fictional historical garb; rather it is an historical event that is recounted in ANE mythic categories. We can also agree with three scholars mentioned above that biblical historiography as a portrait rather than a photograph; yet we may ask “what kind of a “portrait” do we expect from OT narrative?”


기독교는 역사적인 종교이므로 복음주의자들은 성경의 역사적 성격을 변증하는 데 많은 정열을 쏟아 왔다. 성경의 하나님은 자신의 백성을 죄와 죽음에서 구원하기 위하여 역사 속에 개입하셨으며, 그 사건들의 기록이 성경 안에 담겨 있다. 따라서 이 글은 바로 현대의 구약 연구에서 제기되고 있는 항구적인 쟁점을 다루고자 한다. 즉, “구약성경은 어떤 점에서 역사적인가? 구약성경의 내러티브는 오늘날 우리가 이해하고 있는 역사 개념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가?”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우리는 출애굽기에 나오는 출애굽의 주제를 다루고 있는 세 명의 대표적인 복음주의 학자들(Hoffmeier, Kitchen, Longman)의 글들을 소개하며 비평적으로 평가해 보고자 한다. 이 세 권의 작품들을 통하여 우리는 출애굽 사건이 ‘가상적인 역사적 복식으로 옷 입은 신화적 드라마’를 낭송하는 것이 아니라, 고대 근동 아시아의 신화적 범주로 서술되는 역사적 사건’임을 확인하였다. 성경에 나온 역사 기술은 사진(photograph)이라기 보다 그림(portrait)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그것은 ‘어떤 성격의 그림인가’에 대해서는 더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