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셩경젼셔』(이하『구역』)는 최초의 한국어 신․구약 성경전서이며, 한국 교회의 공인을 받은 최초의 성경이다. 이『구역』이 발간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에『구역』의 번역상의 공과를 연구하여 새로 나올 번역에서 그 장점은 계승하고 과오는 되풀이 되지 않도록 장치를 마련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 글의 목표는『구역』의 번역상의 원칙을 탐구하고, 새로운 번역상의 원칙 수립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글은『구역』의 장점과 계승 방안을 논의한다. 번역상의 원칙이 명확히 확립되어 있고, 그 원칙이 적절히 적용된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를 펴갈 것이다. 『구역』의 첫째 장점은 우리말다운 문체다.『구역』은 지금까지 출간된 우리말 성서 가운데서 번역투의 어순이 가장 적게 나타난다. 우리말의 여러 가지 동사 연결형을 자유자재로 구사함으로써, 토막토막의 문장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물 흐르듯 흘러가는 문장으로 재구성해 냈다. 이러한『구역』의 문체를 낭독체 문체, 판소리체 문체, 유려체 문체라고 부를 수 있다. 현대인들이 간결한 문체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고, 성서의 원문 자체가 토막토막의 단문(單文)으로 구성되어 있기도 하기 때문에『구역』의 문체를 모든 성서 번역에 일률적으로 적용한다는 것은 불합리하다. 그러나 생래적인 우리의 고유한 성향을 충족시키고 보존한다는 점에서『구역』 투의 문체로 번역된 성서를 곁들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구역』의 둘째 장점은 수동태 문장을 우리말로 될 수 있는 대로 능동태 문장으로 바꾸어 번역한 점과 수동태로 번역하는 경우에도 서구식 문체를 따르지 않고 우리말 어투로 번역한 사실이다. 이렇듯『구역』은 비교적 초기의 번역본이지만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층 명확하고 수준 높은 번역본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번역이 가진 장점을 철저히 수용해서 더욱 다듬어진 번역상의 원칙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e Complete Bible in Korean(1911) is the first Korean New and Old Testaments which was the first authorized version in Korean Church.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lve into the principles of translations used in The Complete Bible in Korean and to suggest a new translation principles based on our thorough evaluations.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deal with the contributions of The Complete Bible in Korean which can be succeeded to the contemporary translators of the Bible. The first contribution of The Complete Bible in Korean can be found in its style in terms that it is just like our native language. We may say that among the Korean Bibles that have been published so far, The Complete Bible in Korean includes the least translation style in arranging words in a given sentence. The separated sentences are tied into and reconstructed to a sentence that flows like water via having good command over the variety of Korean postpositional words for connecting verbs. We can call this writing style of The Complete Bible in Korean a reading style, a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 style, or a smooth and elegant style. It is unreasonable to uniformly apply The Complete Bible in Korean style to all the translations of the Scriptures both because the modern people have a tendency to prefer a concise sentence and because the original Scripture itself is constructed with simple sentences. However, in terms of fulfilling and preserving our (Korean) inherently unique propensity, it is desirable to use the Bible translated in The Complete Bible in Korean style additionally. The second contribution of The Complete Bible in Korean is found in the fact that passive sentences are translated to active ones whenever possible in Korean, and further that even when passive sentences are translated to the same passive, our (Korean) literary style is employed instead of the Western’s. In this way, The Complete Bible in Korean has diverse contributions despite being a translated version in a relatively initial period in the church history. To produce an even more clear and highly qualified version in the future translation proje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ore systematic translation principles which could express an elegant native Korean language by thoroughly taking advantage of The Complete Bible in Korean(1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