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위선종이나 조기위암은 동시성 병소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만성위염에 의한 점막의 변화로 병변의 경계부위를 명확히 구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전에 시행한 색소내시경의 유용성을 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7월까지 위선종 또는 조기위암의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위하여 의뢰된 환자 51명(남 41, 여 10, 평균연령 60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시술 전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였으며 0.2% indigocarmine 30 mL를 분무카테터(spraying catheter)를 이용하여 위 점막에 골고루 살포하였다. 색소살포 전후의 병소 모양과 크기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색소살포 전후 발견되는 모든 병소에 대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의뢰된 환자의 88.2% (45명)에서 색소살포 전 병소를 찾을 수 있었다. 병소를 찾을 수 없었던 6명 중 1명에서 색소살포 후 선종을 발견할 수 있었다. 색소살포 전 자세한 육안적 검사를 통하여 6개의 추가적인 병소가 의심되었으며, 조직검사 결과 만성 염증이 3개, 선종이 3개였다. Indigocarmine을 살포한 후 8명에서 추가적인 병소가 발견되어 조직검사를 시행하였으나 모두 만성 염증이었다. 색소살포 후 4개의 위선종이나 위암 병소가 색소살포 전에 비하여 크게 보였으며, 이 중 3개의 병소는 색소살포 후 측정한 병소의 크기가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후 조직학적으로 측정한 병소의 크기와 더욱 유사하였다. 결론: 위선종이나 조기위암의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위하여 의뢰된 환자에서 시술 전 육안으로 시행한 내시경검사로 5.9% (3/51)의 환자에서 추가적인 병소를 발견할 수 있었으나 시간 경과에 따른 병소 발견 확률 변화의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었다. Indigocarmine을 이용한 색소 내시경으로 병소의 크기를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었으나 추가적인 병소를 발견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았다.


Background/Aims: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is frequently performed for the treatment of gastric adenoma or early gastric cancer. These lesion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atrophic gastritis and synchronous lesions are not uncomm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hromoendoscopy with indigocarmine in detecting additional lesions patients referred for EMR. Methods: Chromoendoscopy was performed in 51 patients (M:F=41:10, mean age= 60 year). After a careful examination, the stomach was stained with a 30 mL of indigocarmine (0.2%) with a spraying catheter. The changes in size of the lesions and the possibility of finding additional lesions were compared between before and after spraying dye. Results: Before dye- spraying, six additional lesions were found. On the other hand, before the chromoendoscopy with indigocarmine. And among these, microscopic examination confirmed the presence of adenomas for additional three lesions. After spraying indigocarmine, eight additional lesions were found suspicious for adenoma, after the dye spraying. However, there was no neoplastic lesions histopathologically. With dye-spraying, the lesions looked bigger in four cases. And the three lesions among them showed similar size compared to the patholgic report. Conclusions: A conventional gastroscopic examination was enough to find additional adenoma or cancer, whereas chromoendoscopy was not so helpful in detecting additional lesions. In addition, because indigocarmine dye-spraying could outline mucosal elevations, chromoendoscopy was benefical in accurately measuring the size of the le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