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장결핵은 폐결핵 환자에서 잘 동반되나 위장관 증상이 없는 장결핵의 빈도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장관 증상이 없는 활동성 폐결핵 환자에서 대장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장결핵의 동반 빈도를 살펴보고, 이 때 관찰되는 장결핵의 대장 내시경 소견과 표준 항결핵 치료 후 나타나는 반응을 알아보고자 전향적으로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에 내원한 활동성 폐결핵 환자 중 위장관 증상이 없는 59예(남자 39예, 여자 20예)를 대상으로 전대장 내시경 검사와 PCR법을 시행하여 장결핵의 유무를 진단하였다. 또한 진단된 장결핵 환자들은 항결핵 제제를 복용하기 전, 약물 복용 1개월, 3개월에 각각 추적 전대장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치료경과를 관찰하였으며 완치되지 않은 경우는 9개월 내 재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위장관 증상이 없는 활동성 폐결핵 환자 59예 중 32예(54%)에서 장결핵이 관찰되었으며, 이들은 남자 21예, 여자 11예로 평균 나이는 33세였다. 32예의 환자들 중 20예(62.5%)에서 조직학적으로 육아종이 발견되었으며 이 중 5예에서는 건락성 변화를 보이고 나머지 12예(37.5%)에서는 비특이성 만성 염증소견만을 보였다. 또한 32예 중 25예에서 조직 PCR법을 시행하였고 장결핵 양성은 3예(12%)에서 나타났다. 장결핵 환자 32예의 발생 위치는 회장말단부 27예(84%), 맹장 22예(69%), 상행결장 12예(37.5%) 등의 순서를 나타내었으나 직장 단독 또는 대장 전체를 침범한 경우는 없었다. 초기 장결핵의 전대장 내시경 소견은 나타나는 빈도순으로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궤양, 미란, 그리고 점막충혈이 동반된 경우로 전체 환자의 37.5%가 포함되었으며 두 번째는 궤양과 점막충혈이 동반된 경우로 34.4%를 나타냈고 세 번째 유형은 점막충혈과 미란이 동반되거나 점막충혈만 관찰되는 것으로 12.5%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환자는 표준 항결핵 제제에 잘 반응하였으며 약제 투여 1~3개월 후에 시행한 추적 전대장 내시경 검사에서 병변이 소실되었다. 결론: 여러 가지 목적으로 전대장 내시경을 시행하였을 때 우연히 대장 점막의 궤양, 충혈, 미란 등의 병변이 발견되면 반드시 조직검사를 시행하고 호흡기 증상 등이 동반된 경우 흉부 X-선 검사를 확인하여 폐결핵의 침윤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초기 장결핵의 치료는 표준 항결핵 요법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Aims: Pulmonary tuberculosis may coexist with intestinal tuberculosis even in the absence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The aim of this prospective study was to define the colonoscopic findings of early lesions of intestinal tuberculosis, incidence of asymptomatic intestinal tuberculosis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response after standard anti- tuberculosis chemotherapy. Methods: We examined 59 Korea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who had no gastrointestinal symptoms. Patients underwent diagnostic total colonoscopy up to terminal ileum for evaluation of intestinal tuberculosis. Follow-up total colonoscopy was also done in 1∼3 months after start of treatment. Results: Intestinal tuberculous lesions were found in 54% of patients. The common locations of lesion were terminal ileum (84%) and cecum (69%). The combination of circumferential ulceration, hyperemic mucosa and erosions of the colon was the most common finding (37.5%), the combination of hyperemia and ulceration occurred in 34.4% of patients and hyperemia with/without erosion in 12.5%. The direction of ulceration was transevere in relation to long axis of the colon but occasionally longitudinal. Although most ulcers were multiple in number and various in size but some paitents had isolated single ulcer with erosion. All of the lesions regressed within 1∼3 months of treatment. Conclusions: During screening total colonoscopy, if there are nonspecific hyperemia, erosion or shallow ulcer on colon or terminal ileum, it is necessary to check up chest X-ray for rule out tuberculous lesion, especially in countries with a high prevalence of tuberculosis.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2;24:193-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