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신생아에서 발생하는 식도염 및 위염과 관련된 위험 요인 및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2년 7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하여 식도염 또는 위염으로 진단받은 26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남아가 12명, 여아가 14명이었다. 미숙아 한 명을 제외하고 25명이 만삭아였고, 모든 환아가 적정 출생 체중아였다. 주산기 가사나 산모의 약물 복용력이 있는 경우는 없었다. 내시경 검사를 하게 된 주증상은 구토나 역류, 토혈, 수유 장애, 복부 팽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2%의 환자에서 생후 24시간 이내에, 69%의 환자에서 생후 3일 이내에 증상이 발현하였다. 내시경 소견은 위염만 있는 경우가 13예, 위염과 식도염이 함께 있는 경우가 9예, 식도염만 있는 경우가 4예였다. 식도염의 내시경 소견은 다발성 미란과 섬유소성 삼출물이 식도의 다양한 범위에 걸쳐 덮여 있는 심한 식도염의 형태를 보였고, 위 병변은 충혈된 점막 위에 점상출혈이나 아프타성 궤양의 형태가 특징적이었다. 12명에서 위 점막에 대한 병리조직 검사를 시행했는데, 다양한 정도의 만성 염증 소견을 보였다. 13명에서 빈혈이 있었고, 9명의 환자에서 측정한 혈청 gastrin치는 모두 정상이었다. 26명 모두에게 ranitidine을 사용하였으며, 4명에서 수혈을 하였고, Dieulafoy 병변이 있었던 2예에서 hemoclipping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아에서 치료 1주 이내에 증상의 호전을 보였으며, 재발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신생아 식도염과 위염의 유발 요인을 찾지 못했으며, 임상 양상과 내시경 소견이 큰 소아나 성인에서의 위식도염과 차이가 있었으며, 심한 식도염이 위염에 동반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and clinical features related to esophagitis and gastritis in the newborn. Methods: From January 1995 to July 2002, twenty-six neonates were diagnosed as having esophagitis and/or gastritis. The clinical and demographic data of the patients and their mothers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Results: Twelve males and 14 females were studied. All but one premature infant were full-term. All the babies had a birth weight that was appropriate for their gestational age. The risk factors related to esophagitis and gastritis were not found. The clinical symptoms leading to endoscopy were frequent regurgitation or vomiting, hematemesis and poor feeding. Esophagitis by itself was found in 4 cases, gastritis alone was found in 13 cases and esophagitis associated with gastritis was found in 9 cases. The endoscopic findings of esophagitis showed somewhat severe lesions that consisted of multiple erosions or a fibrinous exudate. The gastric lesions were petechiae and aphthous ulcers on congestive mucosa. All the infants were treated with antisecretory drugs, and transfusion was done in 4 cases and hemoclipping was done in 2 cases. The clinical symptoms resolved rapidly with treatment. All the patients fully recovered without disease recurrence. Conclusion: The clinical features and endoscopic findings of esophagogastritis in the neonates we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features and findings in the older children and adults. Esophagitis may be characterized by frequent association with gastr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