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소화성 궤양의 치료를 중심으로 한 H. pylori 제균 요법의 시행은 최근 수년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H. pylori 제균 요법 후 제균 효과의 판정을 위하여 내시경검사를 시행하다 보면 새로 발생한 상부소화관 병변이 있는 경우가 있다. 저자 등은 H. pylori 제균 요법 후 발생하는 상부소화관 질환의 빈도와 양상을 알아보고자 제균 후 상부소화관 내시경검사 소견을 검토하였다. 대상 및 방법: H. pylori 제균 요법을 시행받은 환자 중 제균 성공이 신속 요소분해효소 검사, 조직학적 검사, 13C-요소호기검사로 증명된 245예를 대상으로 제균 치료 전 내시경검사 소견과 제균 치료 6주 후 시행한 추적 내시경검사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제균 성공 245예 중 6주 후 내시경검사에서 새로운 병변이 관찰된 환자는 35예로 총 14.3%였다. 이 중 역류성 식도염이 7예(2.9%), 급성 위염 10예(4.1%), 십이지장궤양 3예(1.2%), 미란성 십이지장염 15예(6.1%)였다. 이들 병변들은 모두 H2 수용체 차단제로 치료 중 발생하였고 새로운 증상이 동반하여 나타난 경우는 없었으며 치료기간에 따른 발생률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H. pylori 감염에 대한 제균 치료 후 새로운 상부소화관 병변은 드물지 않게 볼 수 있으며, 이들 병변의 병인 및 임상적 의미를 알기 위해 추적 내시경검사를 통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Eradication therapy for H. pylori infection is routinely used for treating patients with peptic ulcer disease. However, endoscopic findings after eradication therapy reveal some newly developed lesions. We have reviewed endoscopic findings to evaluate frequency and morphology of upper gastrointestinal lesions after eradication therapy for H. pylori. Methods: We have studied 245 patients with peptic ulcer disease and H. pylori infection who had a successful eradication therapy. Endoscopic evaluation with rapid urease test, histology, and 13C-urea breath test was performed before eradication therapy and 6 weeks after. Results: The incidence of newly developed lesions after eradication therapy was 14.3% at 6 weeks. The features of newly developed lesions after eradication therapy were as follows: 7 with reflux esophagitis (2.9%), 10 with acute gastritis (4.1%), 3 with duodenal ulcers (1.2%), 15 with erosive duodenitis (6.1%). These lesions were found during administration of H2 receptor blocker. No additional symptoms were found in these mucosal lesions. The development of these lesions was not related to duration of antibiotics. Conclusions: It is not rare to find some newly developed lesions after treatment of H. pylori infec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pathogenesis of these lesions and have follow-up endoscopic examinations for a longer period of time.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2;24: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