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문맥압 상승을 동반한 간경변증에서 울혈성 십이지장병증이 동반될 수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나 그 정확한 기전이나 원인 및 빈도에 대해서 잘 알려진 바는 없다. 본 연구는 간경변증 환자와 대조군에서 십이지장병증의 빈도가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고 간경변증 환자에서 나타난 십이지장병증이 식도 정맥류와 울혈성 위병증 출현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 내시경실을 방문한 간경변증 환자 56명과 대조군 4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두 군 사이에 성별과 연령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간경변증 환자에서 십이지장 병증의 유병률은 26.8%로 대조군에서의 유병률 6.9%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p<0.001). 간경변증 환자 중 십이지장 점막에 발적 및 미란이 있어 생검을 실시한 10예 중 5예에서 조직학적으로 울혈성 변화가 확인되었다. 신속요소분해검사 양성률은 간경변증군에서 36.4%인데 반해 대조군에서는 56.5%로 오히려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28). 위궤양의 동반비율은 간경변증군이 13.5%, 대조군이 17.9%로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간경변증군에서는 위궤양이 동반된 경우에서보다 위궤양이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 십이지장 병증의 동반율이 높은 반면(0% vs 32.6%, p=0.031) 대조군에서는 위궤양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에서보다 위궤양이 동반된 경우에서 십이지장 병증의 동반율이 높았다(5.6% vs 15.6%, p=0.008). 간경변증군에서 십이지장 병변의 유무에 따라 식도 정맥류 크기의 분포에 차이가 있었지만 의미 있는 크기의 식도 정맥류 동반율은 차이가 없었다. 십이지장 병증 역시 정맥류의 범위, 적색소견의 정도, 울혈성 위병증의 유무, 위정맥류의 존재 여부와는 상관이 없었고 혈액학적 검사, 생화학적 검사, 혈액응고 검사 등 간의 진행을 나타내는 임상적 지표들과도 연관이 없었다. 결론: 간경변증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십이지장병증의 동반율이 더 높다. 하지만 간경변증에서 동반되는 십이지장 병증은 헬리코박터 감염과는 관계가 적을 것으로 생각되며 점막 혈관울혈과 관계가 깊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임상적으로 문맥압 항진과의 연관성이 뚜렷하지 않아 앞으로 이들 간의 연관성을 밝히려는 보다 많은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Aims: Congestive duodenopathy could be associated with liver cirrhosis with portal hypertensio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incidence of duodenopathy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uodenopathy and the presence of esophageal varices and portal hypertensive gastropathy in cirrhotic patients. Methods: A total of 56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nd 481 controls were taken upper endoscopic examination. Results: Prevalence of duodenopath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iver cirrhosis group (26.8%)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6.9%), although positive rate of Helicobacter pylori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liver cirrhosis group. Duodenal erosions in cirrhotic patients were predominately located in 2nd portion of duodenum compared to contol group and tended to be circular or linear along the Kerck's ring. Vascular congestion was evident in 5 of the 10 cases. Presence of duodenal lesions had no relationship with the size and extent of esophageal varices and congestive gastropathy. Conclusions: Although histology of duodenopathy tends to show vascular congestion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few clinical markers of portal hypertension support them. Therefore, further studies including endoscopic ultrasonogram are needed to demonstrate the pathogenesis of the duodenal lesions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