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서부 경남지역의 성인에서 발생한 식도 이물의 종류와 합병증에 대하여 분석하고, 내시경적 치료의 성적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 응급실에서 식도 이물로 진단하여 굴곡형 내시경적 제거를 시도한 257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는 257명으로 남자가 132명, 여자 125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4.6세였다. 이물을 삼킨 후 내원까지의 평균시간은 34.2시간(1~3,600)이었고, 이물의 위치는 상부식도가 219명(84.6%)으로 가장 흔하였다. 우발적인 사고로 삼킨 예가 237명(92.2%)이었고, 인위적으로 삼킨 경우는 20예(7.8%)로 교도소 재소자(16예, 6.2%)와 정신과 병력을 가진 경우(4예, 1.5%)였다. 이물의 종류는 모두 260종이었는데 생선가시가 188예(72.3%)로 가장 많았고, 생선 이외의 동물뼈 12예, 금속성 이물 25예, 음식물 덩어리 9예, 기타 이물 26예였다. 253예(98.4%)에서 굴곡형 내시경적 제거가 가능하였고, 4예는 실패하여 전신마취하 강직형 식도경술로 제거하였다. 이물제거술 시행 전 합병증은 종격동 기종, 급성 종격동염이 각각 2예에서 동반되었고, 모두 예리하거나 긴 이물로 상부식도에 있었고, 대부분 내원이 48시간 이상 지연된 경우였다. 종격동염이 발생한 2예를 포함한 6예에서 수술 또는 전신마취하 치료가 필요하였다. 이물제거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점막출혈 1예와 위-식도 접합부 열상 1예였다. 내시경적으로 치료한 253예에서 치료 후에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35예(13.8%)에서 37개의 기질적인 병변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서부 경남지역 성인의 식도 이물은 음식과 관련한 우발적인 사고가 대부분으로 생선가시가 가장 많았고, 예리하거나 큰 이물로서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에 합병증이 발생하여 수술이 필요하였다. 인위적인 이물 환자는 모두 재소자 및 정신과 환자로 음식과 무관한 무기물이었다. 식도 이물의 내시경적 치료는 적절한 보조기구의 선택과 응용으로 성공률이 높고 안전하며, 이물 제거 후 완전한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동반된 기질적인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Background/Aims: The majority of foreign body ingestions occur in pediatric population. We assessed the characteristics and endoscopic treatment outcome of esophageal foreign bodies in adults. Methods: Medical records of consecutive 257 patients who received trial of endoscopic treatment for esophageal foreign bodies, from January 1998 through November 2003 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Among 257 cases, 132 were male. The incidence was highest in 5th decade, and mean age was 54.6 years. Most common location was upper esophagus (84.6%). Accidental ingestion accounted for 92.2%. Twenty cases (7.8%) of voluntary ingestion were all prisoners or in psychiatric problems. Fish bone was the most common type. Endoscopic treatment was successful in 253 cases (98.4%) and 4 were managed with rigid esophagoscopy. Four cases who complicated by acute mediastinitis or pneumomediastinum at presentation had sharp-pointed or long objects lodged in upper esophagus, and almost presented at 48 hours after the ingestion. Full esophagogastroduodenoscopy could find 37 organic lesions in 35 cases. Conclusions: Majority of esophageal foreign bodies in adults developed accidentally during meals. Voluntary ingestion of foreign bodies was not related to meals, and developed by prisoners or psychiatric patients. The sharp-pointed or long objects lodged in upper esophagus with delayed presentation may cause complication. Endoscopic treatment is safe and beneficial, and a full endoscopic evaluation should be recommended for the evaluation of a synchronous organic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