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급성 담석성 췌장염의 발생과 연관된 췌담관의 임상 및 해부학적 위험인자에 대한 몇몇 연구가 있었으나 담석성 췌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췌장염의 중등도에 따른 위험인자의 연구는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 담석성 췌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췌장염의 중등도에 따라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원광대학병원에 내원하여 급성 담석성 췌장염으로 진단 후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을 시행한 환자 5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이들 환자를 Glasgow 지표가 3이상인 중증 군과 3미만인 경증 군으로 분류하였다. 양 군 간의 여러 가지 임상적 변수들(총담관 직경, 담낭석 수, 담낭 내 담석 크기, 담낭관의 직경, ERCP 중에 육안적으로 관찰된 결석이나 담즙 찌꺼기, 팽대부 주위 게실 유무)을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58명의 환자 중 경증 췌장염은 48명(83%), 중증 췌장염은 10명(17%)이었고, 중증군 3명에서 가성 낭종이 발생하였다. 총담관 직경, 담낭석 수, 담낭석 크기, 담낭관의 직경은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팽대부 주위 게실이 없는 경우가 중증군(90.0%)에서 경증군(39.6%)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ERCP에서 총담관의 담즙 찌꺼기나 5 mm 이하의 작은 담도 결석이 확인된 경우가 중증군에서 90.0%로 경증군의 54.2%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p=0.035). Logistic 회귀분석에서는 팽대부 주위 게실을 동반하지 않는 것이 급성 담석성 췌장염 중증도의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odds ratio=25; p=0.01). 결론: 급성 담석성 췌장염에서 팽대부 주위 게실을 동반하지 않는 것과 5 mm 미만의 총담관 결석이나 담즙 찌꺼기가 중증도의 위험인자일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for biliary pancreatitis according to severity.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reviewed 58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for the management of acute biliary pancreatitis between November 2001 and June 2004. The severity of pancreatitis was classified as severe or mild pancreatitis according to the Glasgow scale. Multiple clinical and radiological factors were analyzed for a relationship with the severity of pancreatitis and coexisting biliary pathology. Results: Ten patients (17%) had severe pancreatitis (the SP group) and the remaining 48 patients (83%) had mild pancreatitis (the MP group). The diameter of the common bile duct CBD) and cystic duct, and the number and the size of gallston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of patients. The number of patients without a periampullary diverticulum in the SP group (90.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MP group (39.6%). Most of the SP patients (90.0%) had CBD stones (<5 mm) or CBD sludge, but the prevalence of CBD stones (<5 mm) or CBD sludge was lower in the MP group (54.2%, p=0.04). The absence of a periampullary diverticulum was identified as a risk factor according to severity by the use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dds ratio=25; p=0.01). Conclusions: The development of severe biliary pancreatitis was influenced by risk factors such as a CBD stone less than 5 mm or sludge and the absence of a periampullary diverticulum.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5:385-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