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유아교사들의 교육 경력에 따라 전통 놀이의 인식과 교육 실제는 어떻게 다른지, 유아교사들의 근무기관에 따른 전통놀이의 인식과 교육 실제에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E구와 경기도의 E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62명을 대상으로 전통놀이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제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이 전통놀이를 접하는 경로는 주변의 사람들을 통해서 획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친구들과 놀이를 통해서 전통놀이를 접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유아전통놀이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로는 전통놀이는 협동놀이를 장려하여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경력이 많을수록 전통놀이에 대한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경력이 많은 교사들은 교육 활동의 주제와 관련하여 전통놀이를 잘 활용하고 있었으나 경력이 적은 교사들은 주로 추석이나 명절 등 일정 시기에만 전통놀이를 활용하고 있었다. 넷째, 유아교사들은 전통놀이의 활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 연수 및 교육 기회의 강화에 많은 응답을 보였으며 전통놀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자료로 유아의 신체 크기와 수준에 맞는 악기 및 놀이 도구 개발 및 보급이 필요다고 하였다. 그리고 교사 연수에 필요한 전통놀이 내용은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전통놀이의 종류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전통놀이에 대한 연수 및 강연 등의 기회가 강화되어야 하고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전통놀이와 관련된 교재 및 교구 개발 보급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korea traditional play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ypes of institutes and teachers’ careers. 262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examined using a questionnaire on teacher's perception about traditional play for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acted with their friends to learn korea traditional play.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for traditional play betwee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For instructing traditional play, teachers provided pictures, picture books, and actual objects. Teaching materials were instructional materials for educational activities for traditional play, the Internet and so on. Teachers thought that in performing traditional play, they didn't know how to play it. Third, the mo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long career, the more they had interest in traditional games in general. In addition, teachers with longer careers applied traditional play activities regarding educational activities, traditional festivals like Chuseok. Because teachers want education program and opportunity for learning korea traditional play, opportunity and educational program for learning korea traditional play for young children is needed to give them to learn it. It suggests that one should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participate in training programs and lectures regarding traditional play and at the same time, develop and supply teaching materials and t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