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의 목적은 강원지역 시설아동의 다양한 입소배경과 우울, 불안, 위축 등 3개 주요 정서장애 실태를 조사하는 한편, 특히 입소배경 가운데 학대/방임, 부모의 이혼여부 등 가족문제에 기인한 경우를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입소원인과 정서적 문제의 상관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조사에서 살펴보려는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아동들은 일반적으로 심각한 정서적 문제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둘째 시설아동들의 입소배경 변인은 정서장애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강원지역 시설아동 152명을 대상으로 시설아동의 정서장애실태와 입소배경에 따른 정서장애의 차이점을 조사하였다. 제시된 연구가설에 대한 조사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강원지역 시설아동들의 정서상태는 선행연구들이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우려할 수준만큼 심각한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강원지역 시설아동들의 입소배경에 따른 정서장애 실태는 통계적 유의미성이 없었다. 즉 학대경험이나 이혼여부 등 중요한 입소배경은 아동들의 정서상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형제유무, 부모의 방문여부 등의 변인도 아동들의 정서상태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않았다.


This study aims to take a research on the three major emotional disturbances, which are depression, anxiety, contraction, of the children in the children’s homes in Gangwon province, and also various background factors which cause them brought to the children’s homes, especially family factors, for example child abuse, and divorce. We analyse the corelation between these background factors and the emotional disturbances. The main hypothesis are; firstly The children in the chidren’s homes have severe emotional disturbances. secondly various background factors influence these emotional disturbanc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emotional disturbances of the children in the children’s homes in Gangwon province are not severe not as much as imagined. Secondly there is no definite corelation between the background factors and their emotional status. And neither be shown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emotional status according to visiting of their biological parents and cohabitancy of their sibl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