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로티의 ‘자유주의 아이러니스트’라는 개념이 정치 영역을 미학화했다고 하는 비판이 정당한 것인지를 논구한 것이다. 논자가 보기에 그런 비판은 일종의 허수아비 논증으로서 로티가 말하는 ‘아이러니스트’ 개념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예컨대 슈스터만은 근대와 탈근대의 문제를 이성 대 미학적인 것의 대결로 보면서, 하버마스와 로티의 차이를 이 대립에 대한 관점의 차이로 요약한다. 로티는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의 미학적 전회를 해방적인 과정으로 평가하는 반면 하버마스는 잘못된 이성파괴의 과정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하버마스는 로티가 정치 영역 을 미학화함으로써 공적인 실천의 문제를 비합리적인 영역으로 몰고 갔다고 보고 있다. 이런 비판이 일종의 허수아비 논증이라는 것을 말하기 위해 논자는 로티가 인간과 언어에 대해 어떠한 ‘본질주의적’ 관점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 로티의 철학은 로티 자신의 완성을 목표로 하는 사적인 내러티브라는 것, 로티는 몇몇 포스트모더니스트들과 달리 ‘이성의 타자’를 가지고 이론을 만들어내고 있지 않다는 것, 로티에게 있어서 언어는 ‘본질적으로’ 공적이거나 사적이지 않다는 것 등을 설명하고자 시도했다. 논자는 로티가 어떤 정치철학적 주장을 할 때마다 그의 담론을 하나의 유한한 문화정치적 제안으로 간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관점에서 그를 독해함으로써 그가 실패한 이론가가 아니라 성공적인 아이러니스트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것이 논자의 주장이다.


I have tried to argue that the critique of Rorty which claims his idea of ‘liberal ironist’ make politics into aesthetics, is a kind of scarecraw argument. It seems to me that the critique is grounded on the misunderstanding of Rorty's concept of ‘ironist’. For example, regarding the problem of modernity and post-modernity as the confrontation between reason and aesthetics, Schusterman summarizes the difference between Habermas and Rorty as the difference of the viewpoint on the confrontation. According to him, whereas Rorty regards the aesthetical turn of postmodernists as a process of liberation, Habermas regards it as a wrong process of destruction of reason. Habermas himself thinks that Rorty has made the problem of the public practices into the realm of irrational decision by making the politics into the aesthetics. In order to argue that this critique is a scarecraw argument, I have tried to show that Rorty has no ‘essential’ point of view on language, Rorty's philosophy is itself a kind of private narrative which aims for his self-perfection, and for Rorty language is not ‘in essence’ public nor private. I think we have to regard Rorty's political argument as a finite cultural political suggestion. From this viewpoint, we could regard him as a successful ironist not as a theoretical fail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