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여러 시인들이 동일한 그림을 시적 대상으로 하여 화면상의 이미지를 각기 서로 다른 시적 이미지로 어떻게 재산출하는가 라는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강세황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七灘亭十六景圖를 시적 대상으로 하여 강세황과 이수환이 각각 지은 「七灘亭十六景圖詩」 16수를 논의의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칠탄정십육경도 16폭의 화면상에 각각 그려진 풍경의 요소들과 두 시인의 시 작품들에 각각 제시된 풍경의 요소들을 비교하여 두 풍경 간에 있을 수 있는 여러 가지 관계 양상을 추출한 다음, 그 양상을 근거로 하여 시적 풍경의 산출 근거를 밝혔다. 시적 풍경의 산출 근거는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화면’, ‘화면+상상력’, ‘상상력’이 바로 그것이다. 또한 동일한 표제로 지어진 두 시인의 작품들을 시적 풍경의 산출 근거에 따라 네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서 한 작품씩 선정하여 대비 분석함으로써 두 시인이 동일한 그림을 시적 대상으로 하여 화면상의 이미지를 각기 서로 다른 시적 이미지로 어떻게 재산출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동일한 그림을 시적 대상으로 하여 화면상의 이미지를 언어로 재산출할 때, 시인들은 저마다 시적 풍경의 산출 근거를 달리하거나 시적 풍경의 산출 근거가 동일하더라도 그 근거 중의 하나인 시인 자신의 상상에 토대를 둠으로써 각기 서로 다른 시적 이미지를 산출할 수 있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look at ways of some poets' reproducing the dissimilar poetic image from the same pictorial image. For this purpose, in this paper,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七灘亭十六景詩)", which Kang, Se-hwang and Lee, Su-hwan each appreciated "Chil Tan Pavilion sixteen pictures(七灘亭十六景圖)" and wrote, are studied. First, the aspects of relation between pictorial scenery and poetic scenery are extracted through comparing their elements with each other, and the producing bases of poetic scenery are clarified according to those aspects. The bases are classified into three kinds such as ‘picture', ‘picture+poet's imagination', and ‘poet's imagination'. And two poet's poems, being the same title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producing bases of poetic scenery, and, then, a pair of poems are selected in each type and analyzed to consider how two poets reproduce the dissimilar poetic image from the same pictorial image. The result was that, when poets reproduce the same pictorial image in poetic language, they could reproduce the dissimilar poetic image by using the different producing basis of poetic scenery, or by basing on poet's own imagination under the same producing basis of poetic scen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