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鄭의 詩에 대한 연구는 시인의 불우한 삶과 작품을 직접적으로 연계하여 해석하는 쪽으로 치우쳐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방법에서 벗어나 작품에 나타난 이미지와 정서를 분석함으로써 정포 시의 高妙함과 아름다움을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시인의 시에서 주목되는 이미지는 꽃빛산 등 생명력을 드러낸 이미지들과, 새길물 등 고요함을 상징하는 이미지들이다. 이들은 자연생명이 지닌 두 가지 생명본질을 시사한다.시인이 두 가지 생명본질 가운데 생명력에 더 주목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꽃의 이미지나 아름다운 여인의 형상을 묘사한 그의 개성적인 작품들이 생명력을 현시한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특히 시인은 남녀의 이별을 극화하여 순수한 사랑의 정감을 노래함으로써 인간의 생명욕구를 드러내었다. 또한 자연물의 생명력과 이를 관조하는 데서 오는 환희를 노래하여 자신의 생명욕구를 암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아름다운 여인, 악기와 노랫소리, 자연경물 등을 묘사하여 그의 風流를 묘사한 시는 생명욕구 즉 생명력 회복에의 지향을 시화한 작품들이라 할 수 있다.중요한 사실은 이러한 생명욕구가 세속적인 욕망과 구별된다는 점이다. 시인은 작품을 통해 생명본질인 고요함을 획득하였을 때 이러한 생명욕구를 온전하게 발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요함은 ‘無思’로부터 비롯된다는 자신의 통찰을 전하였다. 결국 이러한 통찰은 시인의 시가 老子思想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는 노자사상의 영향을 받아 ‘利欲으로 얼룩진 세계’를 거부하고 자연스러운 생명욕구에 따라 사는 삶을 추구하였던 것이다.


On life essence and life desire indicatedin Jeongpo(鄭) poemsRyu Ho-jin*攀*Korea Univ. lecturer.攀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