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申緯(1769~1847)는 少時에 스승 李匡呂(1720~1783)를 모시고 盛唐詩를 공부하다가 陳奏兼奏請使의 書狀官으로 연경에 가서 翁方綱(1733~1818)을 만나고 돌아와 前作들을 모두 태워버리고 ‘由蘇入杜’를 學詩의 방향으로 내걸었다고 하였다. 본고는 신위의 焚藁 시점이 1812년 옹방강을 만나고 돌아와 분고를 한 것이 아니라 丙午년(1786) 여름 신위의 나이 18세에 이루어진 일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분고 이유는 정두경의 漢魏盛唐시의 복고주의와 의고주의의 모의풍조를 그만두겠다는 선언으로 분고를 한 것임과, 신위의 분고는 金昌協의 영향과 조선후기 반의고주의의 흐름의 연장선에서 일어난 일임을 밝혔다. 신위의 「焚餘錄(1787~1808)」은 분고 이후에서 현전 『警修堂全藁』 이전까지의 작품이다. 「분여록」 내용과 「분여록」 시기의 교유는 대부분 이광여의 제자들인 宋喜鼎․徐榮輔․徐耕輔․徐淇修․成載淳․朴蓍壽 등과 산수자연을 유람하고 산수풍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시들로 이루어져 있다. 「분여록」에 실린 시의 가장 큰 특징은 산수자연을 유람하며 산수풍경과 일상의 체험을 있는 그대로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허위나 과장 없이 ‘平易’하고 ‘眞實’하게 표현하였다. 따라서 「분여록」 시의 미적 특질은 ‘實境’에 걸 맞는 풍격이라 하겠다.


Shin Wi(申緯: 1769~1847) has been known to study the sacred Tang poems under the master Lee Gwang Ryeo(李匡呂: 1720~1783) in his early years and burned his writings after meeting Weng Fanggang(翁方綱: 1733~1818) in Beijing as a clerk of Jinjugyeumjucheongsa(陳奏兼奏請使) and put up the Yusoipdu(由蘇入杜) as a banner in learning poetry.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time when Shin Wi burned his writings was not after he met Weng Fanggang in 1812 but in his age of 18 in the summer of the Year of the Horse(1786). The study identified that Shin Wi burned his writings as a declaration to go against the imitative trend of revivalism and archaismof Han-Wei sacred Tang poems(漢魏盛唐詩) by Jeong Du Gyeong. It also revealed that the burning was influenced by Kim Chang Hyeop as an extension of the trend of antiarcha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in Wi’s 「Boonyeorok」(焚餘錄: 1787~1808) is the compilation of his writings from the burning to the Gyeongsudangjeongo(警修堂全藁). The book is composed of the poems that vividly described the natural landscapes as he went on a trip to enjoy the landscape with companions most of whom were the pupils of Lee Gwang Ryeo, including Song Hee Jung(宋喜鼎), Seo Yeong Bo(徐榮輔), Seo Gyeong Bo(徐耕輔), Seo Ki Soo(徐淇修), Seong Jae Soon(成載淳) and Park Si Soo(朴蓍壽). The biggest feature of the poems in 「Boonyeorok」 is the realistic but plain description of the natural landscape and daily experiences with out pretension or exaggeration. Therefore, the aesthetic property of the poems in the book is the style that befits the real views of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