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중기의 詩風 변화를 흔히 宋詩風에서 唐詩風으로의 전환이라 말한다. 그렇다면 이 흐름은 조선후기까지도 유효했던 것인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고는 시의 목적과 기능을 인식하는 경향에 따라 효용성과 심미성의 계열로 나누고, 유의미한 徵候인 淸․議論․詩史 등에 초점을 두어 조선후기 시단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一國的 시각에서 벗어나 다각도로 문학사를 살피기 위해 중국의 詩論도 배경적으로 참조하였다. 그 결과 ‘청’만을 절대적으로 애호하는 시각을 비판하고, ‘의론’과 ‘시사’가 시에 보이는 것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흐름이 조선후기 시론에서 적지 않게 보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시의 聲色과 音律을 통해 興趣와 妙悟를 추구하는 계열과는 선명히 변별되는 경향인데, 시의 목적과 기능의 측면에서 보자면 특히 시의 도덕적․사회적 효용성을 추구하던 비평가들이 이러한 흐름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또한 조선후기의 시 비평에서뿐만 아니라 중국의 시 비평에서도 이처럼 시의 심미성과 효용성을 추구하는 계열은 끊임없이 교체되며 길항하였다. 보편적 문예사조의 변화에 비추어 보더라도 이와 같은 교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하지만 조선의 비평가들이 중국의 비평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기도 하였고, 그 논리 역시 중국의 비평과 유사한 점이 적지 않다는 사실로 미루어보자면 그 영향력은 일정하게 인정해야 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시대의 변화에 맞춰 당대에 제기할 수 있는 시의 모범을 제시함으로써 비평의 흐름을 다양하게 하였고, 시가 지닌 對社會的 소명을 저버리지 않고 시의 도덕적․사회적 효용성을 추구하려고 노력했다는 의의는 충분히 인정해야 할 것이다.


It is said that Tangshifeng(唐詩風) was changed into Songshifeng(宋詩風)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So then, was this flow still valid in the latter of Joseon Dynasty? It is the point to study this problem in my paper. For the sake of accomplishing this aim, this study focused on useful symptoms, for example Cheong(淸), disscussion(議論) and history written by poem(詩史). And this study also focused on Chinese poetics as well as Joseon’s poetics.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First, there were many critics who criticized the class that loved only Cheong absolutely, and who were fond of the discussion and the history written by poem. This class wa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class that pursuit excitement and profundity through image and rhythm. In other word, this class pursuit the usefulness of poem. And it is usual that interchanged aesthetics of poem with usefulness of poem in Joseon Dynasty as well as China. But through the similarity between critics’ criticism in Joseon Dynasty and critics’ criticism in China, we know that Chinese criticism had a decisive effect on Joseon Dynasty’s criticism. Judging from these, it is meaningful that presentation of prototype and pursuit the usefulness of po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