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8세기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면서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되던 시기였다. 경상도 동남지역의 중심문화권이었던 경주에서는 이 시기에 많은 문인들이 활동을 했다. 특히 임진란 때 소실됐던 慶州司馬所가 1741년 중건되자 이곳을 근거지로 경주뿐 아니라 인근 지역 사마들까지 방문해 어울림으로써 詩作에도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사마소를 출입한 사마들이 남긴 문집 속의 시문을 분석해 경주사마소의 성격을 살폈다. 첫째는 생원 · 진사시에 합격한 사마들만이 출입할 수 있는 ‘自負의 공간’이었다. 둘째는 사마들이 여기에 와서 고뇌와 사유를 하는 ‘思惟의 공간’이었다. 셋째는 지역의 사마들뿐 아니라 타 지역의 사마들도 방문해 술을 마시며 수창을 하는 ‘交遊의 공간’이었던 것이다.


18Century is the time from the Middle Ages to modern times to transform. many poet In the KyeongJu worked on positive lines. Especially KyeongJuSaMaSo reconstruted in 1741. A large number of SaMa There-based mixed with the surrounding area SaMa. This thesis studied the character of KyeongJuSaMaSo thereby analyze the collection of SaMa’s works. First were ‘space of the pride’. Second were ‘space of the thought’. Third were ‘space of the friend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