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松都는 황제국을 자처하던 고려의 皇都였다. 하지만 고려의 멸망과 함께 송도는 망국의 회한을 자아내는 古都로 전락하고 말았다. 흔히, 古都는 인간의 흥망성쇠라는 거대운명의 비감에 젖어들도록 만든다. 실제로 송도를 회고하는 시문들은 과거의 영화로움과 대비되는 허무함 또는 무상함의 정감을 표출하는 게 주조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송도에 대한 조선전기 문인의 기억을 그처럼 간단하게 정리하고 말 수는 없다. 역성혁명을 주도한 건국 주체들은 송도와 대비되는 新都 한양의 기억을 새롭게 만들어 강제하기도 했는가 하면, 한양에 거주하던 지식층은 송도를 타자화하여 古都라는 心象地理를 만들어 확산시키기도 했다. 그 결과 정도전․권근과 같은 건국주역들은 松都에 대한 향수를 달래기 위해 漢陽의 새로운 문물제도를 애써 찬양하는가 하면, 서거정․이승소와 같은 다음 세대들은 송도를 遊興과 懷古의 공간이라는 상징을 창출해내기도 했다. 하지만 성종 8년(1477) 채수․조위․성현․유호인과 같은 신진사류들은 송도를 유람한 뒤, <유송도록>을 편찬하여 송도에 대한 또 다른 기억을 만들어냈다. 勝景에 대한 찬탄과 여행에서 오는 逸脫의 감회가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는 하지만 역사에 대한 詠史 또는 鑑戒의 자세를 뚜렷이 표방했던 것이다. 시대의 흐름과 기억주체의 변화에 따라 송도에 대한 기억을 세심하게 분별하지 않을 수 없는 까닭이다물론 조선의 강력한 중앙권력은 송도에 대한 전복적인 기억의 가능성을 좀처럼 허락하지 않았다. 하지만 개성인들은 조선의 지배층에게 갖가지 차별대우를 받으면서도 고려에 대한 충절과 향수로 자기정체성을 가다듬어갔는가 하면, 때론 고려 遺民으로 자처하기까지 했다. 그것은 한양 중심의 지식층이 만들어낸 강력한 집단기억에 대항하는 하나의 방편이었을 것이다. 조선전기 문인의 송도 유람과 그 기억의 변주를 통해 깨닫게 된, 중앙권력에 포획되지 않는 로컬리티의 획득 또는 중앙의 억압과 그것으로부터의 탈주라는 중층적 과제는 지금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현실이기도 하다.


Songdo was the capital of Goryeo dynasty, which was considered as an emperor's country. However with the fall of Goryeo, Songdo fell to an ancient town which evoked remorse on a fallen empire. Frequently an ancient town makes us overcome by grief of the enormous fate of human rise and fall. In actuality, the poetry that reminisces Songdo mostly expresses the sentiment of futility or vanity of life compared to the past glories. But we can't simply summarize and conclude the recollection which writers had on Songdo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main leaders who led rebellion and established a new kingdom forced the new fabricated memory of a new capital Hanyang in contrast to Songdo, whereas intellectuals who lived in Hanyang otherized Songdo and spread the imagined geographies of an old town. As a result, national founding fathers such as Jeong Do-Jeon and Kwon Keun endeavored to praise new civilizations and institutions of Hanyang in order to appease nostalgia of Songdo. Moreover, people from the next generation such as Seo Geo-Jeong and Yi Seung-So created the symbol of Songdo as a place of entertainment and reminiscence. However, rising scholars of Seongjong period (8th year of King Seongjong, 1477) such as Chae Su, Jo Wi, Seong Hyeon and Yu Ho-In went sightseeing Songdo and compiled Yusongdorok and created another memory of Songdo. The book strongly claimed the attitude of historic poems or becoming an exemplary book for other books as well as admiration for beautiful sceneries and sentiment of departure from the routine of daily life. It is because they had to discern the memory of Songdo carefully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and change of remembering subjects. It is natural that strong power centralization of Joseon dynasty rarely allowed the possibility of subversive recollection of Songdo. Though people from Gaeseong went through discrimination under ruling class, they established their identity with loyalty and nostalgia for Goryeo dynasty. Sometimes they called themselves as remnants of Goryeo, which would be a way of resisting the strong collective memory that was fabricated by intellectuals in Hanyang. The reality we are confronting now through the scholars' travel to Songdo and the variation of the memory in the early Joseon period is the multi-layered projects of acquiring locality that cannot be captured by centralized power and oppression by the central power and escape from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