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study of Ngũgĩ wa Thiong’o’s theatrical works begins with looking at how he adjusts regional languages to create major literary works written both in English and in his mother tongue. Gĩkũyũ is the main medium of his presentation of orature, serving as the theatrical language of popular Kenyan theatre. The way the playwright represents Africa’s image of a creative venue of traditional art and contemporary politics is noteworthy in that oral performance conjures a dread of the imagination and the desires of the masses under colonialism. Oral literature, or orature in this essay, functions as a ritual of communal gathering, honoring a proud history of guerilla warfare against colonial rulers. The language of theatre, both in a literal and figurative sense, offers the ground for the common people in plantation farms and factories, restoring the potency and potential of people to gain knowledge of world‐building. Working with community members of Kamĩrĩĩthũ, a town away from Nairobi, the writer and his colleagues seek to establish authoritative voices against the repression and denial of the (neo)colonial nation‐state. Ngũgĩ strives to invent a theatre of the oppressed, where subalterns develop an audible and visible form of popular theatre in terms of the language, the performative medium, and the audience.


구기 와 씨옹고의 희곡에 대한 연구는 그가 영어와 기꾸유어로 작품을 쓰는 과정에서 수많은 케냐 부족어와 구술공연 관습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살피는 것에서 시작한다. 구기가 구술연희를 글로 옮기는 수단으로 사용한 기꾸유어는 케냐 대중극의 공연어로 역할을 한다. 구기는 전통 예술의 창의성과 현재의 정치학이 공존하는 아프리카를 작품에서 재현하며, 구술 예술은 식민 지배를 받는 대중이 가지는 두려움과 욕망을 드러내는 수단이 된다. 구술문학보다 더 포괄적인 예술형식인 구술연희는 케냐 국민이 식민주의자에 항거한 역사의 의미를 되새기고 공동체 구성원들을 결집시키는 제의로 작용한다. 문자 그대로 그리고 비유적으로 극장의 언어는 농장이나 공장의 노동자가 공연에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며, 민중은 구기의 극을 통해 자신들의 세계가 지닌 능력과 가능성을 확인하고 회복한다. 구기와 동료작가들은 카미리두 공동체의 구성원들과 함께 (신)식민주의의 압력과 부정에 저항하는 목소리를 찾으려 한다. 구기는 억압받는 자들의 연극, 즉 언어, 공연수단, 관객의 측면에서 민중이 자신의 주장을 펼치고 정체성을 회복하는 대중극을 발전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