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젠더-정책레짐(gender-policy regime)을 기초로 대상 국가를 나누고 각각의 레짐 간 성별고정관념에 대한 인식의 지형을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족주의 레짐인 한국, 여성친화적 평등레짐인 스웨덴, 인구학적 노동시장 레짐인 프랑스, 그리고 자유주의 노동시장 레짐인 미국으로 나누고, 공적영역(일)과 사적영역(가족)을 둘러싼 고정관념적 인식의 국제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일, 가족을 막론하고 인구학적 노동시장 레짐인 프랑스와 여성친화적 평등주의 레짐인 스웨덴은 일관되고 견고하게 반-성고정관념적 인식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고정관념적 인식의 강도는 프랑스가 스웨덴보다 일관되고 견고하여, 인구학적 노동시장 레짐이 갖는 진보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반-고정관념적 인식의 공유는 두 레짐이 공적영역(일)과 사적영역(가족)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사회적 인프라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자유주의 정책 레짐인 미국은 스웨덴이나 프랑스과 비교해 공적영역(일)-사적영역(가족) 모두에서 상당히 보수적인 인식을 보였다. 이러한 보수성은 자유주의 시장 경제에 대한 믿음과 맞물려 일-가족 양립을 위한 정부지원의 소극성을 설명하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셋째, 가족주의적 정책 레짐인 한국은 가장 보수적인 인식의 지형을 보이며, 다른 정책레짐과는 상당히 다른 독특한 지형을 보인다. 특히 공적영역(일)보다 사적영역(가족)에 대한 경직적 이분법과 고정관념적 인식이 재확인되었다. 이러한 인식의 지형은 일견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있는 것처럼 보이나, 그러한 정책이 현실 속에서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정책의 형식주의(formalism)를 야기하는 동인 중 하나로 규정된다. 다만, 공적영역(일)에 대한 견고하고 일관된 인식을 보이는 다른 정책레짐과는 달리, 한국은 공적영역(일)에 대한 인식변화와 그에 따른 유보적이고 유동적인 인식의 지형이 감지된다. 마지막으로, 성별 및 세대 별 차이를 보면, 프랑스나 스웨덴은 성별이나 세대가 인식의 다양성을 설명하는 요소가 아닌데 반해, 한국은 성별갈등과 함께 세대별 갈등의 가능성이 감지되며 그 정도는 ‘공적영역(일)’에서 보다 현격하게 나타난다. 결국, 가족주의 정책레짐인 한국에서 ‘공적영역(일)’은 인식변화의 진원지가 될 가능성이 보임과 동시에 사적영역(가족)에 대한 인식의 견고함이 재확인 되었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compare gender role stereotype towards public(work) and private(family)spheres by gender policy regimes. Gender policy regimes consist of family based regime(Korea), women friendly egalitarian regime(Sweden), labour market orientated demographic regime(France) and Liberal labour market orientated regime(USA). The data are collected from World Value Survey(2008-2010).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regardless of work and family, France and Sweden share a stable and consistent anti- gender stereotype. The degree of anti- gender stereotype in France is stronger than Sweden, which shows liberal tendency of France on gender relations. On the contrary, USA as a liberal labour market regime shows considerably conservative stance of gender stereotype toward work-family. The conservativeness along with neo-classical ideology highly value free market partly explains passive policy involvement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in USA. Then, gender stereotypes toward work-family is strongest in Korea as a family based regime. In comparison to other countries, Korea is a unique regime. In particular, gender stereotypes on family sphere is much stronger than work sphere. The kind of perceptional discrepancy between work and family may cause formalism of policy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in Korea. Interestingly, perceptional change in work sphere in Korea allows to anticipate changes in gender relations in the near future. Lastly, gender and age are not a matter in France and Sweden, while age and geder work as important factors in Korea.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especially in terms of gender relations and public policy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