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 임파워먼트 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Dunst와 Trivettee의 가족지원모델에 기초하여 정신장애인의 자원과 욕구분석을 통해 가족지원프로그램의 개발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정신보건서비스는 미혼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에 편중되어 있어 자녀가 있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서비스는 찾아보기 힘든 것은 물론이고 이들의 서비스 욕구에 대한 기초자료가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자녀가 있는 정신장애인과 미혼정신장애인의 자원과 욕구의 차이를 분석하여 정신보건서비스에서 소외되고 있는 자녀가 있는 정신장애인 가족을 위한 차별화된 가족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천안, 아산지역을 배경으로 자녀가 있는 정신장애인과 미혼 정신장애인의 자원지지도, 자원지지기능, 지역사회정신보건서비스욕구, 일상생활 자립기능을 비교하고, 자녀가 있는 정신장애인의 지녀양육과 관련된 서비스 욕구를 파악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천안-아산지역에 거주하는 자녀가 있는 정신장애인 35명과 미혼 정신장애인 44명으로 모두 79명이다. 연구의 분석방법은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를, 정신장애인과 가족의 측정 변인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변수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또한 자녀가 있는 정신장애인의 심층집단면담을 통하여 그들의 자녀양육과 관련된 자원과 가족지원서비스욕구에 대하여 질적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가 있는 정신장애인의 자원지지도는 주치의, 배우자, 자녀, 사회복지전문요원 순이었고, 미혼 정신장애인의 자원지지도는 부모, 주치의, 사회복지전문요원, 사회복지사 순이었다. 둘째, 자녀가 있는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정신보건서비스 욕구는 경제적 지원, 약물치료, 증상악화시 대처방법, 개인상담, 교통편의 제공, 권익향상서비스, 가정방문 지도, 증상관리교육, 신체적 질병치료의 순이었다. 반면에 미혼정신장애인의 서비스욕구는 경제적 지원, 교육지원, 증상악화시 대처방법, 교통편의 제공, 사회기술훈련, 여가지도, 증산관리, 개인상담의 순이었다. 셋째, 자녀가 있는 정신장애인의 양육관련서비스욕구 변수간의 관계는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매우 높아 부모상담, 부모교육, 자녀학습지도 및 사회성 지도와 같은 서비스를 하나의 단위로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가정방문지도와도 정적 상관이 높게 나타나 자녀양육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가정중심의 가족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자녀가 있는 정신장애인의 지지욕구에 대한 자원의 지지기능을 보면 배우자와 부모가 주로 지지기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자녀가 있는 정신장애인의 자원이 매우 한정되어 있어 자원의 지지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일상생활자립기능 면에서는 두 집단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심층면담조사결과 자녀가 있는 정신장애인의 경우 자신의 정신장애로 인해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까봐 두려움이 컸으며, 자녀양육을 위한 교육, 부부갈등상담, 자녀를 위한 학습지도와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가사지원에 대한 욕구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ing the resource support function, resources needs, and support needs of the families of parents with mental illness in order to develop and implement a family support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Dunst' family supports model in Cheonan and Asan cities. 35 parents with mental illness and 44 unmarried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Cheonan and Asan c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ross Tap analysis, the Spearman correlation and contents analysi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The following is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1. The resource support function of the sample were the order of psychiatrists, parents, public social welfare worker, mental health social worker, children, partners. 2. The sevices needs about parenting and community resources of the sample were the order of couple counseling about parenting, financial supports, parenting education, socialization training for children, chemical therapy. 3. The resources and their supports function were very poor, and limited in the nuclear family. 4.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nces about parenting like couple counseling, parent education, socialization training for children were very high. It means parenting program should be designed in the unit of package. And the correlation of parenting competence, daily life skill function, and family functions were very high. As a result the specified family services for the parents with metal illness should be provided in the community in order to improve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family function, especially parenting 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ing the resource support function, resources needs, and support needs of the families of parents with mental illness in order to develop and implement a family support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Dunst' family supports model in Cheonan and Asan cities. 35 parents with mental illness and 44 unmarried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Cheonan and Asan c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ross Tap analysis, the Spearman correlation and contents analysi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The following is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1. The resource support function of the sample were the order of psychiatrists, parents, public social welfare worker, mental health social worker, children, partners. 2. The sevices needs about parenting and community resources of the sample were the order of couple counseling about parenting, financial supports, parenting education, socialization training for children, chemical therapy. 3. The resources and their supports function were very poor, and limited in the nuclear family. 4.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nces about parenting like couple counseling, parent education, socialization training for children were very high. It means parenting program should be designed in the unit of package. And the correlation of parenting competence, daily life skill function, and family functions were very high. As a result the specified family services for the parents with metal illness should be provided in the community in order to improve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family function, especially parenting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