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신체상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Rapee와 Heimberg(1997)는 사회공포증이 있는 사람들은 사회적 상황에서 부정적 자기상을 형성하고 부정적 자기상을 통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을 발생 및 유지시킨다고 가정하였다. Rapee의 모형에 따라서, 부정적 정신적 표상으로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신체만족을 설정하였고, 자기효능감과 신체상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사회불안을 일으킬 것이라는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그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일반대학생 217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경로모형을 분석한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대해서는 부분매개로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신체상에 대해서는 완전매개로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사회불안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치료프로그램의 개발과 아동기 후기에 발병하는 사회공포증의 예방에 중요한 시사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the effect of Body image, Social self-efficacy mediated b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Social anxiety. In this study, 217 colleg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elf efficacy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ocial self efficacy and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body image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body image and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econd, the results of path analyses showed that the Rapee et al's model(1997) did not fit the data. the link between social self-efficacy and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was included, then the model was adequate in explaining the data. Thir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partly mediated the link between social self efficacy and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and fu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body image and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pee and Heimberg's model partially apply to explanation of social phobic symp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