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정서·행동장애의 명칭과 정의, 분류와 선별 및 진단의 문제를 고찰하였고, 그 결과와 논의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선별과 진단의 근거가 될 수 있고, 현실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사회적 타당도를 가진 교육적 정의가 제안되어야 한다. 둘째, 특수교육법의 정서·행동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기준이 본질적인 목적에 맞게 적용될 수 있도록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재진술되어야 한다. 셋째, 예방과 조기 판별을 위해 부모나 일반교사들이 사용하기에 용이하고 타당한 선별 도구와 절차가 개발, 보급되어야 한다. 넷째, 일반교사의 의뢰전 중재를 통한 연계적 단계 진단 모형이 도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교사들에 대한 교육과 훈련,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체계 확립 및 평가 및 지원 전문 인력의 배치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e study reported here was to examine terminology, definition, classification, screening and assessment in terms of EBD(Emotional and/or Behavioral Disorders). Based on considered results and arguments, the study proposes as follows. Firstly, it is necessary to propound realistically acceptable educational definition with social validity which can be the basis for screening and assessment. Secondly, in special education law, to be applied for the purposes, the selection criteria for special education needed student with EBD must be restated clearly and concretely. Thirdly, in order for prevention and early identification of EBD, appropriate and easy-to-use screening implements for the parents and general teachers has to be developed and provided. Lastly, collaborative and multiple gating assessment model should be introduced through pre-referral intervention of general teachers. It is required in this connection that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general teachers as well as active intervention, cooperation and arrangement of professional manpower by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