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특수교육에 있어 어떤 장애의 정의와 출현율은 그 장애를 이해하고 중재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정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서행동장애의 경우 아직까지 합의된 정의가 없을 뿐 아니라 출현율도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정서행동장애 관련문헌들에서는 특수교육 관련법에 명시되어 있는 법적 정의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두 가지 주목해야 할 문제점이 있다. 첫째,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정의가 있을 수 있는데 국가가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이라는 행정적 목적을 가지고 설정한 법적 정의를 사용하는 것은 정서행동장애를 이해하고 중재하는 데 한계를 가져올 뿐 아니라 출현율에도 영향을 주어 출현율이 낮게 산출되는 결과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 둘째, 근래 아동 및 청소년들의 정서행동문제가 다소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예방 및 조기중재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는데 정서행동장애의 정의로 법적 정의를 사용하는 것은 이러한 최근의 동향과 괴리감이 있다. 이와 같은 두 가지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의의 설정 목적에 따라 정서행동장애 정의를 법적 정의, 임상적 정의, 교육적 정의의 세 가지로 제안하고 각 정의에 근거하여 출현율도 세 가지(법적 정의에 근거한 출현율, 임상적 정의에 근거한 출현율, 교육적 정의에 근거한 출현율)로 제시하였다. 이처럼 정서행동장애 정의와 출현율 개념을 체계화하는 것은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출현율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 special education, definition and prevalence of a disability are important basic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and intervening the disability. But in the cas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EBD), not only are there differing purposes of definitions, but there are also diverse reports on prevalence. In turn, a legal definition which is found in special education laws tends to be generally used in related references; however, there are two noticeable problems in using a legal definition as the definition of EBD. First, the use of a legal definition which is created by a government with a administrative purpose of identifying students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may lead not only to limitation for understanding and intervening EBD but also to low prevalence of EBD. Second, the use of a legal definition seems far from the recent trend to focus on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of problem behavio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o deal with these two problems, this study proposed three kinds of definitions(legal definition, clinical definition, educational definition) which are different in purposes and based on the definitions, presented three kinds of prevalencies(prevalence based on the legal definition, prevalence based on the clinical definition, prevalence based on the educational definition). This systematization of the definition and prevalence of EBD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e to efficient use of the diverse definitions and prevalence estimates of EB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