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정서․행동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실태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을 알아보았고, 연구 결과와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정서․행동장애 진단 기준의 불명확성, 진단도구 부족과 진단도구 활용에 대한 이해 부족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선별진단 상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진단기준에 대한 조작적 정의, 진단 지침과 진단절차 및 타당한 진단도구의 개발, 담당인력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정서․행동장애학생을 위한 지원 서비스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매우 제한적이며 가족 상담, 가족 지원 등 부모나 가족에 대한 간접 서비스의 제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와 교사 중심의 환경적 지원 접근과 더불어 심리․행동적응훈련과 긍정적 행동지원 등 학생의 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중재지원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가 정서․행동장애학생과 가족, 교사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행동지원의 전문적 수행능력을 갖춘 특수교사나 행동치료사, 심리․행동적응지도사와 같은 전문인력을 우선 배치해야 하고 지역사회 중심, 가족사회 중심으로 여러 서비스들을 통합하고 조직화하여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This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and role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ESC) for student with emotional and/or behavioral disorders(EB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due to the imprecision of diagnostic criteria, a lack of diagnostic tools and misunderstanding about diagnostic tools for EB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operational definition of diagnostic criteria, diagnostic guideline, procedures and valid diagnostic tool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expertise of the staff should be improved. Secondly, support services for EBD i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limited and also the ratio of indirect services such as family counseling and family support is higher. Therefore must build a system that can provide the parent and teacher-centered environmental support and direct behavior intervention services such as psycho-behavior adjustment training and PBS. Thirdly, in order to effectively support EBD students, families and teachers, special education teacher with specialized behavior intervention skills and behavior therapist should be placed in the SESC. Also SESC must perform a role that integrates and provides multiple services of community and family-b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