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초기 부적응 도식, 정서조절 방략 그리고 공감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초기 부적응 도식과 정서조절 방략 및 공감 변인들이 서로 어떤 영향력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39명을 대상으로 초기 부적응 도식 단축형 질문지(Young Schema Questionnaire Short Form: YSQ-SF), 정서조절 방략 질문지(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 ERSQ), 공감 질문지(Empathy Scale: ES)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간의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부적응 도식이 정서조절 방략과 그 하위요인 간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고 인지적 공감과도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조절 방략의 하위요인과 인지적 공감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초기 부적응 도식이 초기 부적응 도식과 인지 공감은 정서조절 방략 전체 및 각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인지적 공감은 정서조절 방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early maladaptive schema,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empathy on undergraduate students.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empathy was to make sure that other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39 undergraduate students. The study measured Young Schema Questionnaire Short Form(YSQ-S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ERSQ) and Empathy Scale(ES). A correlation analysis among each variables and implemented a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s negative correlation among early maladaptive schema,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sub-factor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There were significants positive correlation among sub-factor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cognitic empath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 of influence on early maladaptive schema,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cognitic empathy. And the cognitic empathy was significant effect of influence on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lated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