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지금까지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문제행동과 관련된 연구에서 좀 더 연구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를 살펴, 앞으로 어떤 방향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이루어진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36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논문들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던 문제행동의 종류는 크게 부주의 행동과 공격행동 그리고 자리이탈 행동으로 나뉘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난다.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조사연구와 문헌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문제행동 중재 유형으로는 기능분석을 통한 중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개별차원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와 관련된 연구가 환경적 차원에서의 중재보다 많았다. 반면, 문제행동의 원인이 된다고 볼 수 있는 교수활동을 통한 중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이루어질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해준다. 보다 효과적인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문제행동 지도를 위해서는 문제행동의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 또한 문제행동의 원인 규명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와 관련되는 환경 변인에 대한 조사나 문헌연구들도 함께 이루어져야한다. 그리고 문제행동에 대해 좀 더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하여 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중재방법을 고안해야 하며 개별적 차원이 아니라 상호작용과 같은 집단적 차원의 중재방법에 대해서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trends of intervention of challenging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Through this research this research tries to find what areas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 According to analyzing methods of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is much more than survey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e survey research is conducted almost every 4∼5 years. The subjects of research are mostly young children with at risk,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The categories of challenge behaviors are inattention behavior and not siting at the chair behavior. The intervention is mostly implemented intervention after behavior analysis and art activity and instructional intervention were low. This research implies the reser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area of cause of challenge behavior and about the environments and instructions that might cause challenge ba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challenge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