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긍정성 증진 훈련이 회복탄력성, 자아존중감과 감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훈련 집단(11명)과 통제 집단(11명)으로 무선 표집 하였으며, 훈련 집단은 긍정성 증진훈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는 회복탄력성, 자아존중감 및 감사 척도를 사용하였다. 훈련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회복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집단과 검사시기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였다. 즉, 훈련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훈련에 따라 회복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감사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는 긍정성 증진훈련이 회복탄력성과 자아존중감과 같은 긍정적 특질들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ositivity enhancement program on resilience, self-esteem, and gratitude. Twenty-two university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assigned to either training or control group. Training group took the 8-session positive enhancement program. Participants reported questionnaires of resilience, self-esteem, and gratitud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interaction effect of two groups and test period was significant in resilience and self-esteem. The result indicated that train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ilience and self-esteem than control group did. But two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titude. The results suggested that positive enhancement program could promote positive traits.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 to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