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spiritual Awakening Movement,Pyongyang Great Revival Movement of 1907, in 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igious identity and nationalism of the Korean Christian. There has been disagreement throughout Korean Church History about what effect, if any, the Awakening Movement had on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of Korean Christian. To approach this problem I proposed,as the starting point, that nationalism, as distinguished from patriotism,was formed in relation to a period of historic modernization of Korea. I demonstrated that the Korean Christian was looking for the formation of their national identity consistent with Christian ethics. The American missionary asserted profound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nationalism. To demonstrate my thesis I investigated, first, the influence of the American missionary in view of a theological understanding - the election of a nation with a specific task. Second, I described the work of the Independence Club regarding the formation of nationalism. I chose it, because Korean Christians, as well as the leader of Awakening Movement,Seonju Gil, participated in this Club for the independence of the nation. Lastly, I showed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identity and nationality of the minister Seonju Gil, who led the Pyongyang Great Revival Movement. I focused o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further, how to overcome the conflict between them in view of cultural imperialism. We have to attend to the fact that Korean Christians tried to suggest a proper and theological solution to historical situation in accordance with biblical interpretation. From this perspective we will be able to find the solution to the debate of opposites.


본 논문은 한국 기독교인의 종교적 정체성과 민족적 정체성의 관계를 1907년 평양대부흥운동을 통해서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는다. 평양대부흥운동이 한국 기독교인의 민족적 정체성의 형성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는 한국교회사 연구에서 의견의 일치에 도달하지 못한 채 지금까지 대립 구도를 이루고 있다. 한편에서는 평양대부흥운동은 비정치적이라고 규정한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이 운동이 한국 기독교의 민족주의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입장을 취한다. 이 대립 구조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민족주의(nationalism)와 애국주의(patriotism)라는 개념을 구분하여 사용한다. 왜냐하면 민족주의라는 개념은 역사적으로 한국 근대화의 시기에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 기독교의 민족적 정체성은 기독교의 윤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미국 선교사들이 한국기독교인의 민족적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국 선교사들이 지닌 언약사상에 근거한 국가 선택사상이 어떻게형성되었는지, 그 당시의 정치적·역사적 배경에서 그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미국 선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민족주의가 한국 기독교인의 민족적 정체성 형성에 끼친영향을 추적하기 위해서 독립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독립협회를 선택한이유는 기독교인들 뿐만 아니라 대부흥운동을 이끌었던 길선주목사도 이 협회의 일원으로 활동했었기 때문에 미국 선교사들이 끼친 한국 기독교인의 민족적 정체성의 특징을 살펴보는데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평양대부흥운동을 선두적으로 이끌었던 길선주목사에게 나타난 기독교인으로서의 종교적 정체성과 한국인으로서의 민족적 정체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기독교의 보편적인 종교적 윤리와 민족적 정체성의 갈등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 둘의 간격을 그는 어떻게 극복 하고자 하였는지 추적하여 설명하였다. 이로써 한국 기독교인들의 민족적 정체성은 문화 제국주의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민족주의이며,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과 기독교의 보편적 윤리와 갈등을 성경의 올바른 해석에 근거하여 적절한 신학적 해결을 내놓고자 한 노력의 결과였다는 점을 드러내고자하였다. 그러므로 정치적 입장에서의 민족주의 이해를 잣대로 평양대부흥운동을 이끌었던 그 당시의 민족 정체성을 판단해서는 안되며 평양대부흥운동 이후의 그들의 노력이 비정치적이라고 단정하는 것을 성급한 판단이라는 결론에 다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