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레위기 25장의 희년법은 1980년대 이후, 우리 사회와 민족이 가지고 있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으로 인하여 최근까지도 끊임없이 한국 교회와 신학자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희년이 가지고 있는 자유와 해방의 이념은 남녀간, 빈부간, 남북간의 평화와 화해를 가져올 수 있는 희망을 갖게 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희년법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긍정적인 의미 이면에 이스라엘의 민족주의적한계 역시 공존하고 있다는 사실이 분명하게 지적되지 않은 것은 의아하다. 안식년 법과 달리 희년법은 그 수혜자를 이스라엘 백성의 가난한 자들에 제한하고 있으며, 이방인은 그 혜택에서 철저히 제외된다. 이처럼 안식년이 가지고 있는 보편주의와희년이 가지고 있는 특수주의가 일으키는 충돌은 독자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한데, 이는 성경의 증언을 따르면, 희년은 안식년을 토대로 형성된 율법으로, 두 율법이 불연속성을 드러내는 것은 자기 모순적이기 때문이다. 희년을 또 하나의 안식년으로 이해할 경우, 독자들은 우리가 앞으로 살펴볼 두 율법이 보이는 충돌을 이해하기 힘들며, 레위기 25장이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형성되었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할수 있다. 본 논문은 레위기 25장의 형성 과정을 밝히기 위하여 안식년과 희년에 관한 규정을 방법론적으로 역사적인 배경과 문학적인 배경으로 구분하여 서로 독자적인 규정이라는 가설 아래 접근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우리는 레위기 25장의최종 편집자가 서로 다른 기원을 가지고 있는 이질적인 율법을 동일한 본문의 자리에 위치시킴으로써 파생된 신학적 의미를 밝히려고 시도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레위기 25장의 형성 과정뿐 아니라 안식년과 희년이 구약성경 전체에서 가지고 있는 신학적 의미와 위치 역시 도출해 내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Since the 1980s, the Jubilee law in Leviticus 25 has raised particular interests to the Korean Church and theologians due to our society and nation’s situations. The ideology on freedom and liberty of the Jubilee may give us the sufficient hope to bring peace and reconciliation between men and women,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and between the two Koreas. However, it is astonishing that the nationalistic limitation of the Jubilee that exists behind its positive effect was not pointed out. Unlike the sabbatical year law, the beneficiaries are offered only to the poor of the Israelites; the aliens are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benefits of the Jubilee. The collision between the universalism of the sabbatical year and the particularism of the Jubilee is enough to attract the reader’s attention in that it is self-contradictory that the sabbatical year and the Jubilee produce discontinuity if the latter is formulated upon the former as Leviticus 25 testifies. When the Jubilee is interpreted as another sabbatical year,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ollision between the two laws, and we can raise a question on the formation of Leviticus 25 from this problem. This paper clarifies the formulation process of Leviticus 25 by methodologically approaching these laws in historic and literary backgrounds. In this way, we will try to reveal the theological meaning derived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Leviticus 25 by the final redactor in placing the two heterogenous laws having different origins in the same chapter. We expect to grasp the theological function of the sabbatical year and the Jubilee in the Hebrew Bible as well as the formation of Leviticus 25 through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