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is to brief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ome distinctions of Korean church’s worship service. The Korean Church has her own worship tradition cultivated through unique circumstances and experiences. In order to understand this process, an individual needs to contemplate on the influences of Western worship traditions mainly from England and America, the missional strategies of foreign missionaries in Korea, bygones and situations which the Korean believers experienced,and the unique cultural environments of Korea, etc. Before the arrival of the foreign missionaries, there had been Christian communities that had the same worship form of the Manchurian Church and distinctively led by lay members. Then there was the tradition introduced by the American missionaries who were mostly nurtured with Puritanism and had experienced Revivalism. The Presbyterian Church of US then was in the middle of a conflict between the Old School and the New School of worship, thus delivering both traditions to Korea as they are. Another factor that needs thorough study is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Korean Presbyterian worship. The first Presbyterian missionaries in Korea adopted the Nevius missional plan and it had great impact on various aspects like missionary methodology, various forms of worship,meetings and conferences. The Presbyterian worship took a new turn in 1907 when the first Korean pastors were ordained. Soon, various forms of corporate prayer like early-morning prayer meeting, open united prayer during worship,mountain-top prayer and all-night prayer meeting appeared and took root. The first Korean pastors strived to recover well-organized traditional forms of worship service rather than maintaining the status quo. These attempts, however, were not so fruitful, because the simple order of worship that was established through Nevius plan became a long tradition of Korean Church. The Church experienced significant events in the late 1960s, due to the advancement of Pentecostalism, and enjoyed a revival. With the help of the revival, the churches became affluent in the 1980s and encountered an era of Romanticism in worship. The churches emphasized aesthetic qualities, installed and played pipe organs, brought Gothic church buildings, included stained glass, and used religious images. Also the so-called Open Worship movement appeared in the late 1980s. Borrowed from the American Churches like Willow Creek Community Church, the Open Worship, which started at Onnuri Church,responded positively to the needs and requirements of the mass and began a consumer-directed worship style. This style seems to be transforming into Emerging Worship nowadays. 21st century is the new turning point for the Korean Church worship. Most of the denominations publish their unique new liturgy books. These various codes would lead beyond each denomination’s peculiarity and show possible recovery of the common essences of the primitive worship, or the danger of liturgical and spiritual ‘mixism.’


이 글은 한국교회 예배의 발전과정과 내용적 특징을 정리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한국교회의 예배는 역사적으로 그만의 독특한 상황과 경험을 통해서 발전되어왔다. 한국교회의 예배의 발전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영국과 미국 등을 통해 들어온 서구의 예배전통과 더불어, 한국에 파송된 선교사들의 선교전략, 한국인이 경험한 역사적 사건들과 상황들, 그리고 한국의 독특한 문화적 환경들을 함께 묶어 생각할 필요가 있다. 매우 독특하게도 1884-5년을 기점으로 미국의 선교사들이 한국에 들어왔을 때, 한국에는 이미 예배를 드리는 공동체가 자발적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이렇듯 한국 교회의 예배는 처음부터 독특한 출발을 보여 주고 있다. 우리는 먼저 만주교회를 통해서 한국에 전달된 예배의 형태와 내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만주교회 예배의 가장 큰 예배적 특징은 평신도들에게 주어진 예배의 주도권(Worship initiative)에 있었다. 한국교회의 예배의 배경이 되는 또 다른 요소는 미국선교사들을 통해서 들어온 예배전통이라 할 수있다. 1884년 이후로 한국에 들어온 서구의 선교사들은 대부분 미국의 청교도 전통(Puritanism)에서 양육되고 부흥운동(Revivalism)을 경험한 사람들이었다. 장로교회의 경우 미국은 당시 구파(Old School)와 신파(New School)의 예배전통이 대립한 상황이었는데 그들은 이러한 다양한 예배신학을 그대로 한국교회에 전달하여 주었다. 한국교회 특히 장로교회 예배 형성과정에서 주의깊게 살펴보아야 할 또 다른 요소는 초기 한국 장로교 선교사들이 채택한 네비어스(Nevius) 선교정책일 것이다. 네비어스 선교정책의 채택은 선교의 방식 뿐 아니라, 선교지에서 드려지는 다양한 예배와 집회들, 그리고 모임의 형태와 방법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주었다. 1907년 한국인 목회자가 최초로 안수를 받게 되면서, 장로교회의 예배상황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다양한 토착적인 예전들이 발전하게 되었고 예식서와 예배모범 등 공식적인 예배문서의 채택 또한 이 시기에 이루어 졌다. 한국인 목회자들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평신도에 의해서 예배가 주도되던임시적인 틀을 벗어나 보다 잘 짜인 전통적인 예배의 형식을 회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또한 이 시기에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네비어스 선교정책으로 고착된 간단한 예배순서가 오랫동안 한국교회의 예배로 이어져 내려오게 된다. 1960년대 말부터 한국교회는 오순절교회의 약진을 경험하게 된다. 1980년대는 예배의 낭만주의(Romanticism)의 시대이다. 1980년도 후반에 등장하기 시작한 열린 예배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온누리 교회를 중심으로 시작된 이러한 소비자 중심의 예배는 다시 이머징(Emerging) 예배로 전환되어가는 상황가운데 있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한국교회는 새로운 예배의 전환기를 맞이하게 된다. 대부분의 개신교회가 각각의 새로운 예배 예식서들을 속속 발간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예배, 예식서들의 발간은 각 교단의 독특한 특징을 넘어서 초대교회의 예전적 유산들을 회복하였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목회적 현장들을 반영하였다는 의미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