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Hans Urs von Balthasar)의 신적-드라마(eo-Drama)의 한 요소인 세계 무대(world stage)를 발타살이 다루는 근대문학 작품들과 톨킨(J. R. R Tolkien)과 루이스(C. S. Lewis)의 중간계 작품들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기본적으로, 두 세계는 실제 세계를 반영하는 복합 시공간(complex time-space)이라는 전제 하에 비교/분석된다. 본고는 먼저 세계 무대와 중간계를 간단하게 소개하고 공통점 ― 중간(middle) 개념과 신화적 알레고리 ― 을 설명한 후두 세계의 직접적인 연결 고리가 되는 작품인 <니벨룽겐(Nibelungen)>을 통해현대적 의미를 찾는다. 또한, 이를 매개로 세계 무대와 중간계의 작품들을 하나님의 구속과 인간의 실존이라는 두 주제로 정리하고 그 속에 담기는 소주제들과내용을 살핀다. 구속과 관련해서는 창조 질서의 회복, 용서, 희생 그리고 실존과관련해서는 사회-정치적 정의와 개인의 정의, 상황(context), 역할이라는 소주제들을 통해 그 내용을 정리한다. 이 모든 주제들은 중간 상태의 긴장 가운데 드라마의 과정을 살아가는 인간의 전존재적 삶 속에 내포되어 있으며, 결국 인간은 신적-드라마의 행위 주체(acting subject)로서 ‘세계 내 삶에 대한 책임’을 지니는 존재가 된다. 본고는 세계 무대와 중간계의 통합적 고찰을 통해 우리가 사는 이 세계가 ‘삶의 여정 가운데(in the middle of the journey of life)’ 회복과 성장과 성숙 그리고 성화를 통한 온전한 구원을 이루어 가는 ‘희망의 공간’이 될 수있음을 보이려 한다.


This study offers a fresh look at the World Stage, one of the key elements in Hans Urs von Balthasar’s theo-drama, comparing modern literatures he used with the Middle-Earth literatures of J.R.R. Tolkien and C.S. Lewis. The two worlds, both the World Stage and the Middle-Earth, are presumed to be complex time-spaces reflecting the real world. We first present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two worlds with a focus on the common concepts such as ‘middle’ and mythical allegory, and explore their contemporary meanings in the light of Nibelungen to which both worlds are deeply indebted. Two main themes, namely God’s redemption and human’s existence, are highlighted, along with a host of sub-themes organized in the order of (1) the restoration of the created order, forgiveness, and sacrifice (all of which concern redemption); and (2) socio-political justice, individual justice, context, and role (all concerning existence). These themes are involved in the dramatic process of human existence marked by the tension of the Middle-Earth, and the human being is obliged to take ‘the responsibility of life in the world’ as the ‘acting-subject.’ Finally, we suggest that our living world could be ‘a space of hope’ anticipating whole salvation through the drama of restoration, growth, and sanctification ‘in the middle of the journe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