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ent educational texts of Sunday school worship with a critical analytic perspective by identifying liturgical inculturation theory and its main issues and by finding educational insights for Sunday school worship in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Historically, Christian liturgy has been formed and transformed through the transculturation process and mutual enrichment between the Gospel and people’s specific cul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raises the following generative questions: “To what extent do current Sunday school worship help students bring their live experiences to the context of worship actively, reinterpret them in the view of the Gospel, and envision their lives newly?” and “If there are limits, what do educational reconceptualization need to be applied and practiced?” With these questions in mind,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current educational texts of Sunday school worship in the Presbyterian Church found in The Minister’s Manual: The Educational Ministry with a critical perspective based on liturgical inculturation theory and educational insights. Through this examination, this study finds that there is not appropriate educational guidance in Sunday school worship from liturgical inculturation theory in terms of students as critically reflective participants, concerns on marginalized students, and minister, teacher, and parents as inculturation co-mediators. I hope that this study may help Korean students participate in Sunday school worship as the context of formative liturgy which reflects their life experiences critically, reinterpret them in the light of the Gospel, and envision their life in the world.


기독교 예전은 복음과 회중들의 구체적인 삶의 현장인 문화와 지속적이고 상호역 동적인 관계를 통하여 형성 및 변혁을 통하여 발전되어왔다. 예전적 상황화 이론학자들은 복음과 회중들의 삶의 구체적인 경험과 문화간의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지속적이고 창조적인 예전의 변혁과정이 목회 안에 요청되는 필수적 과정이라고 이해한 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예전적 상황화 이론의 주된 이슈와 이로부터 발견되는 기독교교육적 함의들을 찾아내어 이를 바탕으로 한국장로교 교회학교 예배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부터 시작한다. “현재 주일학교 예배는 학생들로 하여금 예배 안에서 자신들의 삶의 경험과 이야기들을 복음 안에서 얼마나 적극적으로 회상하고 재해석하고 새로운 소망을 갖게 도와주고 있는가?” “만일 합당 하게 돕고 있지 않다면, 어떠한 기독교교육적인 재개념화가 적용되고 실천되어야 할 것인가?” 위와 같은 질문 위에, 본 연구는 현재 한국장로교 교회학교예배의 교육목회적 매뉴 얼을 제공하고 있는 『목회 매뉴얼: 교육목회』를 예전적 상황화 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 여, 앞으로 한국장로교 주일학교의 현장이 신앙형성적인 장으로 경험되기 위하여 기독 교교육적으로 요구되는 함의와 실천과제들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 장로교 교회학교 예배의 현장에서 첫째, 학생들이 자신들의 삶에 대한 비판적 반추자로 충분히 참여하지 못하고 있으며, 둘째, 약하고 소외된 학생들이 합당한 고려를 받지 못하고, 셋째, 교역자, 교사 그리고 부모들이 예전적 상황화 과정의 동역적 매개자로서 재개념화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바라기는 본 연구를 통하여 건강한 예전적 상황화 과정이 교회학교마다 실천되어, 예배의 자리마다 학생들이 자신의 삶을 복음 안에서 재해 석하고 복음적 비전 안에서 새롭게 결단함으로 신앙형성 및 변혁의 자리로서 예배를 이해하기를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