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도서지역에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언어문화 실태와 언어 소통의 문제, 도서지역 언어문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강화도 외 3곳의 도서지역에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양적 연구 대상자 128명과 질적 연구 대상자 7명과의 설문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언어문화 실태를 보면 만족도 조사에서는 76.0%가 언어문화 생활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오기 전의 한국어 학습량은 약 3개월 미만으로 나타났고, 한국에 온 후 약 70시간의 학습시간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교육에는 71%가 참여하고 있고, 그 중의 76.5%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교육을 받고 있다. 한국어능력시험의 경험에 있어서는 13.2%만이 응시한 경험이 있고, 결혼이주민들이 모임 참여시 얻게 되는 가장 큰 장점이 한국어능력 신장을 위해서라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이들에게 있어서 한국어능력에 대한 관심이 무엇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의 한국생활에서 갈등의 가장 큰 원인도 한국어를 구사하지 못해서라고 37.9%가 응답한 것으로 보아 한국어에 대한 비중을 알 수 있다. 모어 사용에 있어서는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할 대상은 자녀로 답하였고, 가족 내에서 모어 사용의 어려움은 73.7%가 못 알아듣거나 사용할 대상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녀에 대한 모어전수에 대해서는 78.2%가 희망한다는 높은 의지를 나타냈다. 자녀교육에 있어서는 가장 어려운 점이 언어소통의 문제로 나타났고, 방과 후 자녀 학습방법에 있어서는 학원 및 과외가 주로 나타났고, 자녀의 한국어 이외의 모어 능력에 대해서는 69.1%가 모어 능력이 없음을 나타냈다. 둘째, 한국생활의 가장 큰 갈등원인으로 언어소통의 문제로 답하였다. 환경적 측면에서 한국어 학습의 가장 큰 장애요인이 육아이고, 언어적 갈등의 문제로 부정확한 발음이 기장 큰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언어문화 실태와 언어소통의 문제 원인을 토대로 도서지역 언어문화 활성화 방안의 첫째로는 도서지역의 한국어교육을 강화해야하며, 둘째로는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사회적 인식변화가 필요하고, 셋째로는 자녀에게 모어를 전수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야 하고, 넷째로는 결혼이주여성의 방과후 교사, 통‧번역사 등으로 취업이 활성화되어야 하고, 다섯째로는 도서지역을 위한 특화된 다문화관련 제도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of the island region on their current language culture situation, their communication problems, and action steps to enliven the language culture in the island region. The research comprise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128 quantitative subjects and 7 qualitative subjects from Gang-wha island and 3 other island reg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of all, looking into their current language culture situation, 76.0% of the participants expressed satisfaction in their current language culture lifestyle. The time spent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prior to coming to Korea turned out to be 3 months or less, and approximately 70 hours since their arrival. Secondly, the prevalent cause of conflict of living in South Korea is language communication problems. From a situational aspect, the major barrier in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is child care, followed by their inaccurate pronunciation. Concerning child care, many mothers continued to rank communication problems as their biggest challenge, and 37.9% of the subjects expressed that the inability to speak Korean is their main obstacle in living in South Korea, which shows the level of impact of Korean language in their lives. Third, based on the reality of their language culture and root causes of their communication issues, 5 action plans are proposed to enhance the language culture in the island regions. First, strengthe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island regions; second, raising social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he children to learn their mother language; fourth, enabling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to work as after-school teachers, interpreters, or translators; and fifth, implementing special multicultural standards for island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