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새로운 교육모델, 수업방안, 사례를 제시하고자 이공계 특성화 대학에 초점을 맞춘 역전학습 기반 커뮤니케이션 수업모델(Flipped Learning Model: FLM)을 제시하였다. 또, 개발된 교육모델의 적용 후, FLM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더불어 성격유형과 학습유형이 역전학습모델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FLM 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123명에 대한 설문조사와 15명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FLM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는 복합적이었다. 약 40%의 학생들은 역전학습모델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며 27.6%의 학생들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FLM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요약하자면 1)능동적 학습, 2)과목에 대한 이해도 증진, 3)학습 장소와 시간의 유연성, 4)교수-학생, 학생-학생간의 상호작용 증가, 5)새로운 교육방법 등을 장점이라고 응답하였다. 반면 역전학습모델의 단점으로는 1)선행학습의 어려움, 2)학습량과 과제의 가중, 3)선행학습 동기 부족(예: 비전공과목), 4)익숙하지 않은 학습법, 5)온라인 수업에서의 피드백 부족 등이라고 응답하였다. 그 밖에도 학습동기가 낮은 학생들에 대한 대책, 과목별 FLM 적용성 점검, 그리고 FLM의 점진적인 도입 등에 대해서 문제제기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FLM 강좌에 대한 만족도와 성격유형 및 Kolb 학습 유형 간에 관계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학습유형 4개 집단 간 만족도 차이에 관한 ANOVA 분석 결과, 학습유형 4개 집단 간 FLM 만족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 학습유형 집단 간의 성격 차이에 관한 분산분석 결과, 5대 성격 중에서 학습유형 집단 간 성실성과 외향성 성격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4개의 학습유형 가운데 동화형은 외향성이 높고 역전학습모델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그러나 확산형은 성실성과 외향성 성격지수가 높지만 역전학습 만족도는 가장 낮은 그룹이었다.


The study examined students’ reflections and perceptions with a version of a flipped model for an introductory communication course. Further, it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styles, personality traits, and total satisfaction from flipped learning classes. For the quantitative survey data, 123 undergraduate students who enrolled in a flipped communication course were administered questionnaires. Qualitative results were obtained by administering in-depth interviews to a purposive sample of 15 students. As a result, preference on flipped learning was mixed but students were generally in favor of the flipped learning course. They reported more personal involvement in learning, better content understanding, convenience in time and pace, and enhancement of interactions with peers and instructors as the benefits of flipped classes. However, the heavy workloads, greater time preparation, and lacks of familiarity and motivation were mentioned as pitfalls. According to ANOVA tes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mong learning styles. In addition, learning styles were also associated with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such as extraversion and conscientiousness. Implications for pedagogical practice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