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다문화가정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가정 부 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관련 논문 총 30편을 분석하였다. 30편의 분석대상 논문 중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한 연구는 6편이고,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효과검증을 한 연구는 24편이었 다. 연구결과로는, 먼저 다문화가정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연구는 2008년을 기점으로 나타나 기 시작했고 지금까지 꾸준히 년 3, 4편 연구들이 있었다. 둘째로,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을 살펴 본 결과, 다문화가정의 특성에 입각하여 부모의 수요조사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한 연구가 11편(37%)이었다. 셋째,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역량강화를 목적으로 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넷째,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주로 어머니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었고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은 한편 있었으며, 예비부모를 위한 프로그램은 한편도 없었다. 다섯째, 연구의 유형과 프로그램의 평가 방법으로 양적연구 질적연구가 적절하게 사용되었고, 실험설계는 실험·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 사유형이 가장 많았다. 여섯째,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있어서 다수의 프로그램들은 다문화가정의 부모들과 자녀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 가 지니는 의미와 학교 및 교육기관에서 다문화가정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explore parent education or support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mothers having diverse cultural and linguistic backgrounds. We analyzed the existing program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rom 2004 to 2015. Total 30 studies were reviewed, including 6 studies developing interventions and 24 studies examining the program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last ten years,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have been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2) one third studi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needs of potential participating families; (3) most studies we have reviewed, was aimed at analyzing the empowerment of parents, and studies for families having special issues such as child with disabilities or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were comparatively less; (4) most programs have been provided for mothers and only one program focused on supporting father; (5) diverse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and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mainly used; and (6) most parent education programs worked for both parents themselves as well as thei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s we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