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발달지연 자녀와 일반 자녀 어머니의 행복과 불행을 규명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총 1,294명(발달지연 자녀 어머니: 571, 일반 자녀 어머니: 723)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2015)이 제작한 행복 질문지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생활에서 행복할 때는 두 집단 모두 가족과 함께 할 때였다. 둘째, 가장 행복할 때로는 두 집단 모두 가족과 함께 함, 가정의 화목이었고, 그 다음으로 발달지연 자녀 어머니는 자녀출산과 성장, 일반 자녀 어머니는 항상 행복함이라고 했다. 셋째, 행복하기 위해 해야 할 일로 두 집단 모두 자기조절을 지적했다. 그 다음으로 발달지연 자녀 어머니는 긍정적 사고, 일반 자녀 어머니는 가정화목 유지라고 했다. 넷째, 행복의 조건으로는 두 집단 모두 가정의 화목을 지적했고, 다음으로 건강, 자기조절이라고 했다. 다섯째, 가정생활에서 불행한 때로, 발달지연 자녀 어머니는 자녀 발달지연으로 응답한 반면, 일반 자녀 어머니는 부부간 불화로 응답했다. 여섯째, 가장 불행할 때로 두 집단 모두 가정의 불화를 지적했고, 그 다음으로 발달지연 자녀 어머니들은 자녀 발달지연으로, 일반 자녀 어머니는 가정의 불화로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자녀의 장애가 한국 어머니의 행, 불행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appiness and unhappiness of mothers with delayed(MWD) and normal children(MWN). A total of 1,294 respondents(MWD: 985, MWN: 723)completed the happiness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Young-shin(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group reported being most happy in family life when they were together with their family. Second, for overall happiness, both group reported when they were together with their family, harmonious family. As for MWD, followed by after giving birth to children and see them grow. As for MWN, followed by always being happy. Third, as for the question of things to do for their happiness, both groups reported that they needed to self-regulate. As for MWD, followed by positive thinking. As for MWN, followed by maintaining harmonious family. Fourth, as for the basis of happiness, both group reported that harmonious family, followed by maintaining healthy, self-regulation. Fifth, MWD reported being most unhappy in family life when their children had developmental delay. As for MWN, they reported that there was marital conflict. Sixth, as for overall unhappiness, both group reported that there was conflict in the family. As for MWD, followed by when their children had developmental delay. As for MWN, followed by conflict in the fami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ldren's disability is the core factor for mothers' perception on their happiness and unhappines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