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신경미학에 따르면 미적 인지능력은 ‘뇌의 불꽃놀이’로 드러나는 미적 인지작용으로 단순히 일 부 분야에 속하는 능력이 아니라 전방위적 시냅스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미적 경험의 인지적 특징은 무엇인가? 이 글은 미적 경험의 인지적 특징을 분석하면서 이 인지미학의 토대로서 신체성을 주장했다. 인지미학의 신체성은 몸 중심의 인지철학인 체험주의와 발제주의로 제시될 수 있다. 몸 중심 의 인지철학을 바탕으로 인지미학은 미적 경험의 신체적 토대를 밝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적 인지와 미적 경험의 작동방식을 체화된 인지활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글은 또한 이러한 미 적인 신체감과 미적 신체적 경험으로 선취한 철학적 입장으로 니체의 몸 철학과 벤야민의 도시 경험을 제시했다. 이 논문은 신체감과 신체적 경험을 인지미학적인 접근으로 파악하려는 하나의 시도로서, 우리 가 문화예술교육의 현장에서 일상적으로 ‘감(感)이 있다/없다’라고 표현하는 그것의 인지적 내용 을 밝히고자 하는 시도이다.


The general thesis of neuroaesthetics determines that the aesthetic cognition gives not only the 'brain-happiness' aesthetic effect which is limited in specific parts of the brain, but also a major influence of vitalizing the entire synapse. Then, what is a universal mark of aesthetics sensation, perception and experience? In this essay, I try to analyze the aesthetic experience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cognitive aesthetics that is based on human body. The cognitive aesthetics, which is related to human body, are Experimentalism and Enactivism; Experimentalism alleged a physical basis of aesthetics experience and Enactivism showing the mechanism of aesthetic cognition of human body. The Body-Philosophy of Nietzsche and The City-Experience of Benjamin are presented as the philosophical precedents. This essay is another attempt to understand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body sensation, as well as to disclose the implicit meaning of 'good and bad sense' that commonly used in the education field for the 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