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 조직구성원의 도덕적 자율성, 보육교사의 몰입 등의 교육·보육의 질 향상과 관련된 핵심 인적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 히며,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구성원 의 도덕적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영유아의 행복한 삶을 보장하고 교육·보육의 성 과와 질을 높이기 위한 어린이집 원장의 효과적인 지원체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서울, 경인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 문자료 총 302부를 분석하였다.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 조직구성원의 도덕적 자율성, 교사몰입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 =.38~.59),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조직구성원의 도덕적 자율성이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과 교사몰입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 는 것을 확인하였다[최종 모형 적합도 지수: χ2=169.418(df=63, p <.000), RMSEA = .077, SRMR = .045, NNFI = .934, CFI = .946]. 본 연구결과는 어린이집의 교육·보육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어린이집 원장이 도덕적 리더십 으로 보육교사의 교직 및 영유아에 대한 몰입을 직접 유도하기 보다는 조직구성원의 도덕적 자 율성이 증진되도록 리더십을 발휘하고 지원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적임을 밝힌 것으로 어린이집 의 도덕적인 조직문화 조성을 위한 방안과 이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기 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key human variables related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educare including daycare center director's moral leadership perceived by daycare teachers, the moral autonomy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eacher commitment. It's specifically meant to investigate what mediated effect the moral autonomy of organizational members would produce while daycare center director's moral leadership affected teacher commitment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ensure the happy lives of infants and preschoolers and how to improve the support of directors to boost the outcome and quality of educa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2 teachers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the region of Gyeongin,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moral leadership of the directors, the moral autonomy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e commitment of the teachers(r=.38~.59). Whe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arried out, it's confirmed that the moral autonomy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had a perfect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al leadership of the directors and the commitment of the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ascertain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re in daycare center, it is more effective for the director to exert the kind of leadership to further the moral autonomy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than to exert moral leadership to stimulate teacher commitment to teaching and infant or preschoolers in a direct way. In the future, follow-up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to determine how to create a moral organizational culture in daycare center and what variables affect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