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기관유형(공립, 사립)에 따라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창의적 역할수행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유치원 기관유형별로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창의적 역할수행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297명(공립유치원 교사: 142명, 사립유치원 교사: 155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 정도는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 정도는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공립과 사립유치원 경우 모두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창의적 역할수행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공립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 하위변인 중 자기효능감과 자율성은 창의적 역할수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립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 하위변인 중 의사결정과 자기효능감은 창의적 역할수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powerment and creative performance by kindergarten type. The subjects were 297 kindergarten teachers that were comprised of 141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d 155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cit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empowerment.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ad higher scores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empowermen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creative performance.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ad higher scores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creative performance. Third,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empower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creativ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was predicted by their self-efficacy and autonomy, while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was predicted by their decision-making and self-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