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여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외식여가활동의 매개효과를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2년 11월 한 달간이며 분석에 적용한 대상인원은 총 347명이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행복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력이 높은, 배우자가 있는, 외식횟수가 많은, 자신의 집에서 거주하는, 경제상태가 높은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 집단에 비해서 행복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사회적 고립은 행복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고립도가 높은 노인일수록 행복의 수준이 낮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셋째, 외식여가활동은 사회적 고립과 행복 간에서 사회적 고립이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어, 외식여가활동의 매개효과가 검증 되었다. 이러한결과를 토대로 노인들의 행복한 삶을 위한 외식여가활동의 체계적인 지원과 개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Social isolation is a common characteristic among the elderly these days. This study examined to test the role of dining out leisure activity as mediators in the social isolation and happiness among elder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7 people over 65 years old around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rea.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by SPSS 18.0, AMOS 18.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level, surviving spouse, number of eat-out, residential type, economic level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happiness. Second, social isolation of the elderly did show the direct relationship to happiness. Third, dining out leisure activity worked as mediators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happine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