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고등학교 역사 과목 중에 『국사』와 『한국근 ․ 현대사』가 있다. 교과서 이름과 같이 『국사』는 우리나라 역사의 전시대를 포괄하고, 『한국근 ․ 현대사』는근현대의 역사를 대상으로 한다. 이 두 교과서를 대상으로 근현대불교에 관한 서술을 검토한 결과, 각각 16건, 27건의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항목수만 보면, 적지 않은 분량이 서술되었을 것이라 생각되지만, 실정은 그렇지않다. 16건의 『국사』 서술을 내용에 따라 분류하면 불과 3개의 항목뿐이다. 즉 ‘한용운의 개혁 운동’, ‘3 ․ 1운동과 불교’, ‘일제의 불교정책과 저항’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그런데 이 세 항목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인물이 한용운이다. 3 ․ 1운동에 참여한 불교계의 활동은 곧 한용운의 활동이었고, 또한 일제의 불교정책과 그에 대한 저항을 한용운의 유신운동과 卍黨 활동을 서술하였다. 그러므로 전체 16건의 내용은 결국 한용운 한 사람에 대한 서술로 귀결된다고 할 수 있다. 한용운은 근대불교의 개혁과 민족운동의 상징적인 존재임이틀림없지만, 서술이 그에게 집중됨으로써 근대불교의 다양성을 소외시키는결과를 초래하였다. 『한국근 ․ 현대사』 27건의 불교 서술은 내용에 따라 5개의 항목으로 구분된다. ‘개화사상과 불교’, ‘일본 불교의 침투’, ‘한용운의 개혁 운동’, ‘3 ․ 1운동과불교’, ‘일제의 불교정책과 탄압’ 등이다. 이를 각 항목별로 자세하게 검토한결과, 몇 가지의 서술 오류를 확인하였다. 『조선불교유신론』에 대한 잘못된이해와 일제하의 법령에 대한 오류 등이다. 교과서 집필자들의 역사관에 의한 견해 차이가 아니라, 역사적 사실에 대한 엄밀한 검증이 부족한 탓이다. 이에 대한 나름대로의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여 올바른 교과서의 서술 방향을모색하였다.


『The Korean History』 and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re the subjects of the history among the high school curriculum. Along with the name, 『The Korean History』 cover all historical era, and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for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ccording to examine thoroughly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m in these two textbooks, each related contents were found 43 items. We thought that narrated large quantity if only seen all items, that isn't exact correct. According to the article in the 『The Korean History』 just three fields. That is summarized ‘Han Yong - Woon’s reform movement’, ‘The 1919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and Buddhism’ and ‘Japanese Buddhist policy and resistance’. However Han Yong - Woon was appearance in common three fields. Because buddhist movements during in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were he's activities. He was a great man during the reformation of the modern buddhism and independence movement, thereby concentrated on only him neglected variations of the modern buddhism. Buddhist narrations in the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classified five divisions. ‘Ideas of Enlightenment and Buddhism’,‘Penetration of Japanese Buddhism’, ‘Han Yong - Woon’s reform movement’,‘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and Buddhism’ and ‘Japanese Buddhist policy and repression’. Examining these minutely I found several mistakes. That is, as it were misconstruction on 『The Revitalizing Reformation of Chosun Buddhism』 and lacking in understanding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laws. These are not different opinions view of history, but only lacking in the acid verification about the historical fact. Therefore in my own way try to find a solution to textbooks problems in the right di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