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南原 勝蓮寺는 金剛寺라는 寺名으로 고려시대에 창건되었으며, 어느 시기에 勝蓮寺로 이름을 바꾸어 조선시대까지 꾸준하게 법등이 유지되었던 사찰이었다. 승련사는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 기록과 유적 유물 등으로 보아 고려후기와 조선초기에 큰 佛事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리고 18세기경에 서서히 퇴락하다가 어느 시기에 廢寺되었다. 현재 승련사의 서편 낮은 능선상에 위치한 바위에는 보기 드물게 六字眞言을 음각하고, 그 좌우에 寶珠形으로 독특한 圖像을 새겼다. 六字眞言은 한국불교사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대표적인 진언으로 조선시대 들어와 크게 신앙되었다. 그리고 寶珠形 圖像은 그 명칭과 의미, 유래 등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남원 승련사에 磨崖로 새겨진 六字眞言과 寶珠形 圖像의 조성 시기와 의의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六字眞言은 고려시대 유입되었으며, 조선시대 들어와 佛徒들에게 크게 신앙되었던 범자 진언이었다. 그리고 寶珠形 圖像은 각종 경전의 내용으로 보아 ‘oṃ’(唵)字를 형상화하여 표현한 것이며, 그 명칭은 佛頂心印으로 추정된다. 佛頂心印은 부처 그 자체나 최고의 진리를 상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六字眞言과 佛頂心印을 바위 면에 새긴 것은 다른 방식으로 佛格을 표현하고, 修行과 成佛을 위한 방편이기도 하며, 현실적으로 辟邪와 祈福의 대상 등으로 삼고자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남원 승련사의 磨崖 六字眞言과 佛頂心印은 한국 불교의 밀교적인 특색과 함께 禪佛敎의 또 다른 측면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The Seungryeon temple lies to the north of NamWon City. The temple was built to Korea dynasty as the Kumkang temple. The name of temple was changed the Seungryeon when Joseon dynasty. The temple was estimated that the late of Korea dynasty and early of Joseon dynasty wholly rebuild a temple through the connected records and relics. Since then, the temple was slowly dilapidated. In the end the temple was ruined in the 18th century. Six letter mantra and three shaped Boju expression were remained to the west cliff of this temple. This example is rare. Six letter mantra had been generally believed in Korea from the Korea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until the present. Especially, the Joseon dynasty had pious faith to the Six letter mantra. The shaped Boju expression was called the Buljeongsimin. But, It is very few the study on the Six letter mantra and Buljeongsimi. Therefore, I will access on the carved time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anskrit mantra on a cliff in the Seungryeon temple. The Six letter mantra represents the mantra in Korea. The shaped Boju expression was estimated that the siddhamātikā ‘oṃ’ letter through the various Buddhist scriptures. The Buljeongsimin was assumed that hold buddha symbols and highest truth of the buddhism. Now, no sure grounds for belief, we think that the historical significance is the object of worship, different expression of Buddha images, expediences for the promulgation of Buddhism for ascetic practices and enter Nirvana, object of drive away the evil movement, and object of the good fortune. These are the most representative esoteric Buddhism and Zen Buddhism in the buddhist history of Korea. They hold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esoteric Buddhism and Zen Buddh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