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고려에서 이어져 내려오던 불교와 도교의 제반의례는 조선 전기가 되면 유교이념을 앞세운 성리학자들에 의해서 이데올로기적 비판을 받아 척결의 대상이 되었고무속에서 행하던 성수신앙도 음사로 구분되어 폐지논란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운명과 생사에 관련된 초자연적인 사항은 유교의 이념으로는 해소가될 수 없는 신앙적 차원의 것이었기 때문에 세간에서 대를 이어오던 성수의례는 계속 설행되어지고 있다. 조선 전기는 치성광여래 신앙이 북두칠성신앙으로 변화해 가는 단초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다. 불교 성수신앙인 치성광여래 신앙도 시대적인 상황에 의해 천변을 기양하기 위해 거행되던 소재관련 의식은 서서히 사라지고 구병과 연수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데 조선 전기 조성되어진 치성광여래 관련 불화와 불경 조성기에서 이러한 시대적인 배경을 읽을 수 있다. 신앙의 목적이 구병과 연수에 초점을 맞추게 되자 치성광여래 신앙은 내용과 도상에서 유사함이 많은 약사여래 신앙과 연동되어 발전하고 있었으며 치성광여래 도상에 일광과 월광보상이 그려지는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였다. 아울러 대중의 호응이 높았던 수륙재에 치성광여래 신앙과 관련된 제요성수가 모셔짐으로 인해 불교 성수신앙으로 치성광여래 신앙이 확고한 자리매김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치성광여래 의례에서 <北斗七星請儀文>이 간행되어진 사실은 인간의 생사권을 가진 성신으로 여겨졌던 북두칠성이 치성광여래 신앙의 전반에 부각되어 이후 북두칠성신앙으로 변천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북두칠성이 부각되어진 칠성청문의 등장은 이에 합당한 새로운 도상을 요구하였고 이에 따라 치성광여래 도상에 칠성여래가 등장하는 새로운 양식의 작품을 만들어 내어 이후 조선 후기까지 전승되고 있다. 조선 후기 도상에 나타나는 자미대제와 수노인의 형상은 임진왜란 이후 소격서가 완전히 폐지됨으로 인해 그 신앙이 불교 성수신앙인 치성광여래 신앙으로 습합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후 조선의 성수신앙은 치성광여래 신앙으로 융화되어 그 전통을 이어나가고 있다.


The ceremony of Buddhism and Taoism that had been handed down from Goryeo dynasty became the subject of combat under the ideological criticism by Confucianism party focusing on Confucian philosophy in the early Joseon era, and the faith of Sacred Stars conducted in Shamanism also caused its abolition controversy classified as Unclean Sacrifice. However, the ceremony of Sacred Star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has been in progress since supernatural details related to human destiny, life and death are in the level of faith which can’t be resolved with Confucian philosophy The early Joseon era is important to investigate clues to the change from the faith of Tejaprabha buddha to the faith of Big Dipper. In the faith of Sacred Stars in Buddhism, the faith of Tejaprabha buddha, a buddhist mass for clean the disaster held so that Prayer may eliminate the plague in Positions of the planets changes by the time circumstances disappeared slowly and focused on cure and longevity, so this age backgrounds can be seen in Buddhist painting related to Tejaprabha buddha and History made of Buddhist scripture created in the early Joseon era. The purpose of faith is focused on cure and longevity so the faith of Tejaprabha buddha was interlocked with the faith of Bhaisajyaguru and developed as the faith of Bhaisajyaguru has many similarities in contents and Iconography with that of Bhaisajyaguru, the new culture that Daylight Bodhisattva and Moonlight Bodhisattva were drawn on Tejaprabha buddha Iconography was created. In addition, the faith of Tejaprabha buddha had a firm position as the faith of Sacred Stars in Buddhismsince the faith of Tejaprabha buddha-related Jaeyo Sacred Stars was enshrined in Surykjae with the public’s high response. The fact that <The Big Dipper offering statement> was published in the ceremony of Tejaprabha buddha shows the Big Dipper considered as The god of Stars with the fate of humans was highlighted in general and then changed into the faith of the Big Dipper. The emergence of the Big Dipper offering statement the Big Dipper was highlighted needed new Iconography, accordingly a new form of work that the Big Dipper buddha appeared on Tejaprabha buddha Iconography was created, which was passed down until the late Joseon era. The shapes of Great jami and Canopus appeared in the Iconography of the late Joseon era means it was mixed with the faith of Sacred Stars in Buddhism, the faith of Tejaprabha buddha due to the complete abolition of Sogyeoksseo after Imjin War and then the faith of Sacred Stars in the Joseon era was in harmony with the faith of Tejaprabha buddha and followed its tradition.